문재인 캠프, 갑작스런 ‘테러 경계령’… 자체 경호팀 가동

입력 2017-02-23 17:37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자체 경호팀을 운영키로 했다. ‘촛불’ 대 ‘태극기’ 등 극심한 보혁(保革) 갈등 탓에 대선을 주도하는 야권 주자에 대한 반감도 덩달아 높아졌기 때문이다. 다른 주자들도 현장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문 전 대표 측은 최근 보수단체 지지층 등이 문 전 대표에게 위협을 가할 것이라는 구체적인 제보를 여러 건 받았다. 문 전 대표는 지난달 경북 구미를 방문했을 때도 박근혜 대통령 지지자 200여명에게 차량이 에워싸여 25분간 움직이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 경찰도 최근 문 전 대표 측에 현장에서 돌발상황 등을 이유로 자체 경호 시스템을 조직할 것을 조언했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23일 “테러 가능성에 대한 제보 여러 건을 받았다. 확인해보니 신빙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지난 21일부터 캠프 자원봉사자 중 경호 경험이 있는 이들을 중심으로 팀을 꾸렸다”고 말했다. 경호팀은 공식 행사 전 미리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문제가 있을 시 경찰에 협조를 구한다. 이들 중에는 특전사 출신도 있다. 자체 경호 인력 이외 경찰이나 사설 경호업체 도움은 받지 않고 있다.

다른 후보들도 현장 상황에 신경을 쓰고 있다. 별도의 경호 인력을 운용하지는 않지만 외부 일정이 있을 경우 2∼5명의 수행팀과 캠프 대변인들이 현장을 먼저 점검한다. 현지 경찰과 방문 일정도 사전 조율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 특히 문 전 대표를 상대로 한 테러 가능성이 알려지자 대응 마련에 나선 캠프도 있다. 또 다른 야권 대선 주자 캠프 측은 “최근 사회적 갈등이 심해 돌발상황에 대비할 필요는 있다”면서 “캠프에도 후보 안전과 관련한 대응책을 좀 더 신경쓰도록 주문했다”고 말했다.

통상 정당별로 공식 대선 후보가 정해지면 선출 직후부터 관련 규정에 따라 경찰로부터 경력과 차량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경찰은 2012년 대선 당시에는 후보별로 30명의 병력을 지원해 근접 경호를 펼쳤다. 경찰은 총선이 벌어지는 시기에도 각 당 대표들에게 경호 인력을 지원한다.

하지만 지금은 박 대통령 탄핵 여부를 비롯해 각 당 경선 일정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다음달 초 헌법재판소가 박 대통령 탄핵을 결정한다 해도 당 경선이 끝나기까지는 한 달여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당분간은 자체 경호 인력을 가동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 대선 예비후보나 대선 후보들이 신변 위협을 겪었던 적은 적지 않다. 2007년 대선에선 당시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이회창 선진통일당 대표가 공기총 살해 협박을 당했다. 유세 현장에서도 달걀을 맞는 등 신변 위협이 이어지자 공식 후보로 등록하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이 경호를 제공했다. 2012년 대선에서도 문 전 대표를 돕던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에 대한 테러설이 확산되자 문 전 대표 측이 경찰에 경호 강화를 요청하기도 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