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측이 경선 후보자 간 첫 토론회를 ‘탄핵 토론회’로 하자는 의견을 당 선관위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전 대표가 토론회 참석에 소극적이라는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측의 비판에 대한 맞대응 성격이다.
문 전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20일 “당에서 토론회를 개최한다면 성실히 임하겠지만 아직 탄핵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후보자 토론회를 하면 탄핵 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우선 탄핵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해 탄핵에 힘을 모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 선관위 등에 이런 의견을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문 전 대표는 그동안 각종 방송 인터뷰와 시사예능 프로그램에는 출연했지만 후보자 토론회에는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아 경쟁자들의 비판을 받아 왔다. 민주당 전국광역의원·기초단체장협의회가 지난 12일 개최키로 했던 후보자 토론회는 문 전 대표가 불참을 통보해 무산됐다. ‘1등 주자’인 문 전 대표 입장에서는 토론회에서 쏟아질 집중 견제와 네거티브 공세 등이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당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토론회 개최 일정 등을 협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토론분과에서 이번 주 내로 결론을 내기로 했다”며 “탄핵심판 결정 전에 토론회를 개최하는 것이 맞느냐가 논의의 초점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첫 토론회 주제는 탄핵과 관련된 것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각 캠프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들었다”고 전했다. 최초 토론회 개최 시점은 다음달 3일 전후가 될 것으로 보이며, 토론회 횟수는 8∼9차례가 될 전망이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서울 마포구의 한 스튜디오에서 ‘특수고용노동자’의 고용안정 대책을 발표하는 ‘주간 문재인’ 동영상을 촬영했다. 문 전 대표는 “학습지 교사, 보험설계사, 택배기사, 골프장 경기보조원 등은 1인 자영업자로 불리지만 노동자”라며 “이들도 헌법과 노동법에 따라 노동3권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수고용노동자에 대한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지원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맞불 놓은 문재인… “경선 후보 첫 토론회는 탄핵 주제로”
입력 2017-02-21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