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린성 일대에서 활동하던 한국 선교사 수십 명이 최근 불법 사역 혐의로 전원 출국 명령을 받으면서 중국 선교에 적신호가 켜졌다. 추방이 대규모로 급박하게 이뤄졌다는 점에서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로 인한 보복 조치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선교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번 조치에 중국 정부의 강화된 종교정책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중국선교의 위축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선교단체들은 사역을 다각화하고 파송교회는 추방 선교사에 대한 위로와 돌봄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함태경 CGNTV 경영본부장은 20일 서울 서초구 남서울교회 비전센터에서 열린 위기관리포럼에서 “최근 중국의 한국선교사 추방 조치는 과거와 현재의 연속성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며 “이는 새로운 일은 아니며 종교를 지배하려는 중국 정부의 로드맵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화문화가 외래문화를 동화시킬 수는 있지만 외래문화가 중화문화를 변화시켜서는 안 된다는 게 중국의 기본 입장”이라며 “이 같은 관점이 중국의 종교 정책 기저에 흐르고 있으며 이는 2005년 3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종교 사무조례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종교 사무조례는 중국의 종교정책을 가늠하는 바로미터로 볼 수 있다. 지난달 9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전국 종교국장 회의에서는 새로운 종교조례를 시행하고 종교 업무의 법치화를 강화키로 의결했다. 조례 개정안은 지난해 9월 공포됐다. 종교를 이용한 국가안전 위협세력 원천봉쇄, 종교학교에 대한 관리 강화, 종교를 이용한 비즈니스 문제 척결 등이 개정안의 주 내용이다.
함 본부장은 “과거엔 촌민위원회, 거민위원회가 인민 정부의 종교사무 관리업무에 협조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었으나 개정안에는 삽입됐다. 이는 의미심장하다”며 “특히 중국의 체제 밖에 있는 가정교회는 박멸하겠다는 게 기본 입장이어서 가정교회와 함께 사역하는 한국 선교사들에겐 큰 모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국교회의 대처 방안으로 추방 선교사에 대한 후원과 돌봄 시스템 가동, 신입 선교사 모집단계에서부터 맞춤형 중국 선교사 선발, 선교사 재배치 등을 주문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총회세계선교부(GMS)는 향후 대책으로 통신보안시스템 가동, 점조직화, 중요 자료의 별도 관리, 비상연락망의 주기적 교육 및 생활화 등의 조치를 준비 중이다. 김정한 GMS 훈련원장은 “선교단체들은 사태 파악과 초동 대응, 멤버 케어, 장기조처 등의 구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며 “특히 추방시 선교사 자녀들의 학교 문제에 대한 대책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송교회는 추방 선교사를 파송할 때처럼 대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이기동 새가나안교회 목사는 “추방이 됐다고 사역자의 소명이 종료된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일부 파송교회는 선교사가 마치 죄를 지은 것처럼 오해하고 심지어 후원도 끊고 있다”며 “파송교회는 추방 선교사에게 새로운 사역지에 대한 비전을 갖도록 위로하고 도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
급박한 대규모 출국명령, 중국선교 ‘암흑기’ 오나
입력 2017-02-21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