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을 1년 앞두고 올림픽 붐 조성 및 한국 문화예술의 우수성을 알리는 ‘문화올림픽’이 본격 가동됐다. 공연 분야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국립오페라단의 야외오페라 ‘마술피리’다.
지난 1월 초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의 새해 업무계획을 통해 발표된 마술피리는 예산 25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이벤트다. 당초 7월 평창 스키점프대 앞 운동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운동장 사용 우선권이 있는 스포츠 단체와 일정 조정이 잘 안된데다 관객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평가 때문에 8월말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으로 장소가 변경됐다.
연출은 영국 웨일스 국립오페라 예술 감독인 데이빗 파운트니, 지휘는 정명훈 전 서울시향 예술 감독이 맡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운트니는 세계적인 축제인 브레겐츠 페스티벌에서 2013∼2014년 이 작품을 연출했다. 색채감이 뛰어난 마술피리는 매년 여름 한 달간 오스트리아 보덴 호수에서 펼쳐지는 브레겐츠 페스티벌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올림픽을 기념해 문체부와 국립오페라단이 기획한 마술피리에 대해 벌써부터 비판과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무엇보다 평창올림픽의 대규모 적자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1회성 이벤트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하다는 것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열린 야외오페라가 대부분 좋지 않은 결과였던 것도 논란을 부채질한다. 2003년 중국 감독 장이머우가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연출한 ‘투란도트’ 이후 한동안 운동장 오페라 붐이 불었다. 이후 ‘아이다’(2003·상암월드컵경기장), ‘카르멘’(2004·잠실운동장) ‘라보엠’(2012·연세대 노천극장) 등이 무대에 올랐다. 제작비 수십억 원을 들인 이들 오페라는 흥행에 참패하거나 각종 송사에 휘말렸다.
다만 이번 마술피리는 흥행을 노린 이전의 야외오페라와 달리 많은 국민이 즐길 수 있도록 티켓 값을 저렴하게 책정하고 무료 관객 비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세계 오페라 무대에서 한국 성악가들이 맹활약하고 있는 요즘 오페라를 대중화시키는 계기로 삼겠다는 것이다.
88서울올림픽 문화축전 가운데 가장 큰 프로젝트는 라스칼라 극장의 오페라 ‘투란도트’ 공연이었다. 이 공연은 한국에서 오페라를 이탈리아어 등 원어로 공연하고 자막을 도입하는 본격적인 계기가 됐다. 또한 대중에게 오페라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 한국의 오페라 발전에 전환점이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평창올림픽 기념 ‘마술피리’가 과연 야외오페라의 저주를 벗고 의미 있는 성과를 낼 수 있을까.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야외오페라 ‘마술피리’가 온다
입력 2017-02-19 1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