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교장관 ‘소녀상’ 이견 못좁혀

입력 2017-02-17 19:30 수정 2017-02-18 00:35
윤병세 외교부 장관(뒷줄 왼쪽 네 번째)을 포함한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들이 16일(현지시간) 독일 본의 월드콘퍼런스센터에서 개막한 G20 외교장관회의에 앞서 단체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AP뉴시스

한·일 양국 외교장관이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서 위안부 소녀상 등 양국 현안을 논의했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17일(이하 현지시간) 독일 본의 월드콘퍼런스센터에서 30여분간 양자회담을 진행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양국 정부가 신뢰를 바탕으로 한·일 관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위안부 소녀상 문제 등에 대해 별다른 의견 접근을 이루지 못했다. 이 당국자는 “일본 측이 소녀상 설치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면서 한국 측의 노력을 적극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한국 측은 “12·28 위안부 합의 정신의 취지를 존중하고 이에 배치되는 언행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양국 갈등을 풀자는 의견 교환은 있었지만 인식차가 컸던 것이다.

지난달 9일 본국으로 돌아간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의 업무 복귀 논의도 따로 이뤄지지 못했다. 윤 장관은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에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것을 명기한 것과 관련해서도 항의의 뜻을 전했다. 회담 시작 전 한국 측은 두 장관의 악수 장면을 언론에 공개하자고 제안했지만 일본 측이 이를 거절하며 냉랭한 분위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앞서 16일에는 한·미·일 3국 외교장관이 만나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핵 폐기(CVID)’ 원칙을 재확인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윤 장관은 렉스 틸러슨 미 국무부 장관과 양자 회담을 열어 북한의 ‘북극성 2형’ 미사일 발사가 ‘직접적이고 임박한 위협’이라는 데도 공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