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도심 이미지가 강한 영등포역 일대가 서울시 서남권의 성장을 견인하는 새로운 경제거점으로 개발된다.
서울시는 영등포·경인로 일대(78만㎡) 등 17곳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으로 최종 확정해 16일 발표했다.
영등포역을 중심으로 한 영등포·경인로 일대는 17곳의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중 유일한 ‘경제기반형’ 재생지역으로 서울시로부터 앞으로 5년간 최대 500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앞서 영등포구는 오랫동안 중공업지역으로 묶여 개발이 제한돼온 영등포역 일대를 토착산업과 ICT(정보통신기술) 산업, 문화산업이 융합된 새로운 산업도심으로 개편해 서울의 3대 도심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마련,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선정에 응모했다.
낙후된 도시 지역을 활성화시키는 사업인 ‘서울형 도시재생’은 과거 관 주도의 개발사업이 아니라 자치구가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역 특성에 맞게 도시재생을 추진할 수 있도록 시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2015년 1월 도시재생본부를 출범시킨 후 그 해 12월 서울역 역세권 일대, 세운상가 일대, 창신·숭인 일대 등 13곳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으로 선정했다. 이번에 발표된 것은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으로 경제기반형 1곳(영동포·경인로 일대)을 비롯해 중심시가지형 6곳, 주거지재생 10곳 등이다.
최대 200억원이 지원되는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지역에는 중구 정동(대한제국 역사문화자산 재활성화·60만㎡), 성동구 마장동(마장축산물시장 재생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55만㎡), 용산구 용산전자상가(상가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살리기·21만㎡), 금천구 독산우시장(서남권 특화상권 조성 및 문화·관광 자원 개발·48만㎡), 동대문구 청량리·제기동 일대(역사·시장 관광자원화, 세대 초월 커뮤니티 형성·49만㎡), 강북구 4·19사거리 일대(자연·역사·문화·공동체 연계관광 중심지·63만㎡)가 선정됐다.
최대 100억원이 지원되는 주거지재생 지역에는 수유1동, 창3동, 불광2동, 천연·충현동, 묵2동, 난곡·난향동, 안암동(이상 근린재생 일반형), 신영동, 수색동, 목2동(이상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 등이 확정됐다.
1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이 쇠퇴한 도심부 위주로 선정됐다면, 2단계 지역은 도심은 물론 동북·서남권 등에도 고르게 분포돼 서울 전역으로 도시재생이 확대되는 의미가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한편 이날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는 창동·상계 일대(약 98만㎡)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대한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이 가결됐다. 창동·상계 일대는 1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으로 선정된 곳으로, 이번에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통과됨에 따라 도시재생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글=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영등포역 일대, 새로운 경제거점 개발
입력 2017-02-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