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자연과학부 임미희(사진) 교수팀은 알츠하이머병 원인 단백질을 절단할 수 있는 전이 금속 물질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로 일컫는 가장 대표적인 병으로 주요한 성인 사망 원인으로 꼽힌다. 정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자의 뇌에서 관찰되는 노인성 반점을 구성하는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주요 인자로 보고된다.
임 교수팀은 금속 착물을 이용해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을 절단하는 방법을 구상했다. ‘테트라-엔 메틸레이티드 클램(TMC)’이라는 결정 구조를 이용해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을 가수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TMC는 외부의 물을 끌어와 원인 단백질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잘라냈다.
특히 TMC 구조 중심에 코발트가 들어갔을 때 뇌-혈관 장벽을 투과할 잠재력이 발견됐다. 치료제로서 직접 뇌 속의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있는 곳까지 투약이 가능한 셈이다.
임 교수는 “코발트 착물은 가수분해로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의 결합을 끊어 독성을 낮출 뿐 아니라 이 단백질에서 나온 독성 자체를 낮출 수도 있다”며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로서의 잠재력이 높다”고 말했다. 연구는 미국화학회지 15일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알츠하이머 치료 가능성 제시” 치매 단백질, 가위처럼 자르는 금속착물 개발
입력 2017-02-16 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