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년 역사의 대덕연구개발특구를 갖고 있는 대전시가 집약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조성에 본격 나섰다.
대전시는 최근 글로벌 경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 조성을 추진키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대전테크노파크 등 2개 반 17명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팀’을 구성하고 대덕특구 내 정부 출연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워킹그룹을 핵심 사안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대응전략팀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정부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한다. 또 민·관·학·연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해 발굴된 핵심선도 발굴과제에 대한 실행력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시는 또 3월 중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전국 특구 출연연 연구원과 지역 민간기업 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미래먹거리 발굴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해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서의 대전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대덕특구 출연연과 함께 정부정책 대응 및 대전·충청권을 아우를 수 있는 로봇, 바이오, 드론 등 핵심선도과제를 발굴해 오는 3월 말까지 사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글로벌 경제 흐름은 우리의 대응 전략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지역의 우수한 인적·물적 역량과 지혜를 모아 4차 산업혁명의 특별시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지난해 12월 ‘4차 산업혁명과 대전의 미래’를 주제로 국책연구원, 특구 출연연, 기업인 등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대덕특구는 1973년 조성 이후 40여년 지나면서 연구기능이 집약된 특구로 비약적 발전과 성장을 거듭했다. 26개 정부 출연연, 1500여 기업 등에서 석·박사 등 3만여명이 근무하는 등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조성에 필요한 최적의 역량과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대전시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본격 추진
입력 2017-02-15 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