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복지허브화 사업이 추진될 읍·면·동 1152곳이 확정됐다. 연말이면 지난해 시행된 곳과 합쳐 총 2246개 읍·면·동 주민들이 찾아가는 상담, 맞춤형 통합지원 등 복지허브 서비스를 받게 된다.
행정자치부와 보건복지부는 14일 올해 복지허브화를 추진할 읍·면·동 1152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지난해 추진된 1094곳을 포함하면 총 2246곳, 전체 읍·면·동(3502개) 주민센터의 약 64%가 복지허브로 바뀌게 된다.
올해 사업이 추진되는 읍·면·동 중 618곳은 ‘기본형’ 복지허브 모델이다. 신청·접수 위주의 기존 복지 외에 찾아가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담당할 전담팀이 신설된다. 534개 읍·면·동은 ‘권역형’ 모델로 180개 중심 읍·면·동에 맞춤형복지팀이 설치돼 인근 일반 읍·면·동 354개까지 찾아가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부는 또 읍·면·동 복지허브화가 신속하게 현장에 뿌리 내릴 수 있도록 시·군·구와 시·도의 추천을 받아 성공 노하우를 공유·확산할 ‘2017년 복지허브화 선도지역’ 36개 읍·면·동을 선정했다. 경남 창녕군 남지읍, 부산 수영구 망미1동 등이다.
정부는 2018년까지 전체 읍·면·동으로 복지허브화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올 ‘복지허브화’ 사업, 읍·면·동 1152곳 확정
입력 2017-02-14 20:59 수정 2017-02-14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