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와 트뤼도, 사사건건 안맞아

입력 2017-02-14 18:25 수정 2017-02-14 21:2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양국 여성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트럼프의 장녀 이방카가 트뤼도 총리 옆자리에 앉아 있다. 이방카의 간담회 참석을 놓고 “공적인 외교 행사에 트럼프 가족이 또다시 멋대로 참여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첫 정상회담에서 무역과 이민, 난민 정책을 놓고 현격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13일(현지시간) CNN방송에 따르면 트럼프는 정상회담이 끝난 뒤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위험한 시대에 핵심 동맹과 강화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트뤼도 역시 “미국과 캐나다는 특별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통적인 동맹을 강조한 양국 정상은 핵심 쟁점인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에 대해서는 이견을 노출했다. 트럼프는 “호혜적인 무역이 필요하다. 무역 조건을 고쳐야 한다”고 NAFTA 재협상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에 대해 트뤼도는 “캐나다는 미국 35개주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매일 20억 달러(약 2조2770억원)를 교역하면서 상호 이익을 내고 있다”며 NAFTA를 옹호했다.

두 정상은 이민·난민 정책에 대해서도 상반된 답을 내놨다. 트럼프는 “미국은 잘못된 사람을 입국시킬 수 없다.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반이민 행정명령은 ‘상식’이며, 대대적인 불법 체류자 단속은 ‘범죄자 추방’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트뤼도는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정부의 기본 책임이라는 점을 이해한다”면서도 “난민에 대한 문호개방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구하겠다”고 말했다. 실제 이슬람권 7개국 국적자의 미 입국을 금지한 행정명령을 발동한 트럼프와 달리 트뤼도는 시리아 난민 수용에 적극 나서고 있다. 다만 트뤼도는 “다른 나라에서 강의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며 의견 충돌을 피하려는 모습이었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