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들은 대부분 링에 등판하고 있는데 대진 일정은 안갯속이다. 유력 주자들의 출사표가 이어지고 있지만 각 당의 경선 일정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모든 경선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현재로선 탄핵 심판 결과 인용 또는 기각 여부를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때문에 결정 일정 역시 한동안은 ‘깜깜이’로 진행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나마 대략적인 경선 로드맵을 확정한 것은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뿐이다. 민주당은 문재인 전 대표가 13일 당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면서 문 전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의 ‘빅3’가 모두 전면에 등장했다. 후보 진영 간 경선룰 조율도 일찌감치 마무리했다. 지난달 당 당헌당규위원회에서 완전국민경선을 골자로 하는 ‘19대 대통령후보자 선출규정’을 확정했다.
1차 선거인단 모집은 15일 오전 10시 예비후보 등록 마감과 함께 시작돼 탄핵 심판 예정일 3일 전까지 진행된다. 헌재의 탄핵 인용이 결정될 경우 인용 다음 날부터 2차 선거인단 모집도 이뤄진다. 당 선관위는 탄핵 인용 이후 4개 지역별 순회경선을 진행한 뒤 전체 득표의 과반을 획득한 후보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결선투표를 통해 4월 초 공식후보를 확정할 예정이다.
다만 탄핵이 결정되지 않았는데도 자칫 ‘대선에만 몰두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어 당과 후보 모두 수위 조절을 고심 중이다. 문 전 대표 대변인 격인 김경수 의원은 13일 예비후보 등록을 마친 뒤 “한 손에는 촛불을, 다른 한 손에는 정권교체와 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의 계획서를 들고 국민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그간 ‘제3지대론’과 ‘빅텐트’ 등 다양한 연대 가능성을 열어뒀던 국민의당은 경선 관련 논의를 진척시키지 못하고 있다. 지난 5일 김영환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대선기획단을 출범시켜 “3월 13일 이전 경선룰을 마련하겠다”는 큰 틀만 정했다. 최근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이 국민의당과 통합을 선언하며 당내에서 ‘안철수 대 천정배 대 손학규’의 삼파전이 형성됐다. 그러나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의 합류 등 변수가 남아 있어 당분간은 큰 진전을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가장 고민이 깊은 것은 집권 여당인 자유한국당이다. 대선 준비 자체가 박 대통령 탄핵 인용을 전제로 하는 만큼 탄핵심판 전 대선 체제를 공식화하기 어려운 처지다. 당 관계자는 “아직 경선 방식이나 구체적인 일정은 하나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조기대선에 대비해 경선이 압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준비 작업은 해둔다는 방침이다. 당은 대통령 궐위 등 ‘상당한 사유가 있는 때’ 선거관리위원회가 경선룰 등을 심의하고 최고위원회나 비상대책위원회 의결로 정하도록 하는 당헌 개정안을 이날 전국위에서 처리했다. 탄핵 심판일에 임박해 당내 대선준비단을 구성하고 경선룰 논의에도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바른정당은 경선관리위원회 구성을 마무리하고 경선룰 마련에 착수했다. 당 관계자는 “신생 정당이다 보니 선거인단 구성보다는 여론조사에 큰 비중을 두는 방향으로 경선룰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은 완전국민경선제 방식으로 후보를 뽑기로 남경필 경기지사, 유승민 의원 측과 사전 조율을 마쳤다. 당은 오는 20일까지 경선룰을 확정하고 다음 달 24일까지 대선 후보를 최종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글=정건희 이종선 기자 moderato@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대선 주자는 대부분 등판했는데… 경선은 언제?
입력 2017-02-14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