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는 13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며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미국과 협력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미국’을 언급한 것은 북한에 대한 경고 성격을 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겅솽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에 분명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에 추가 조치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근본적으로 북핵은 미국과 북한의 문제, 남한과 북한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그는 “이 문제에 대해선 우리도 책임감을 느끼며 미국 등 다른 국가와 협력해 평화적이고 안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겅 대변인은 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국 배치와 북한의 미사일 시험은 별도로 봐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중국이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반대 입장을 표명할 것이라는 것은 예견된 일이었다. 하지만 일부 중국의 책임을 언급하며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 협력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례적인 언급으로 평가된다.
우선 북핵 해결을 위해 중국이 제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강도 높게 비판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를 향한 유화 제스처로 볼 수 있다. 중국 책임론이 거세지면서 중국으로서는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는 북한을 마냥 감싸기에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미·중 정상회담 개최가 논의되는 시점에 미국의 기대에 어느 정도 ‘호응’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라는 해석이다.
북한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라는 시각도 있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북한이 더 큰 도발을 할 경우 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겠다는 경고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쉬리핑 연구원은 “북한의 도발이 미국과 한·일 간 동맹을 강화시켰다”며 “향후 북한이 이러한 행동을 지속하면 중국이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동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관영 매체와 관방 학자들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한·미에 사드 배치 명분을 강화시켜줄 뿐이라면서 북한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환구시보는 사설을 통해 북한이 미국과 한국에 조속한 사드 배치 명분을 준 반면 중국의 전략적 이익에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북한이 이미 동북아의 골칫거리가 됐으며 당근이든 채찍이든 북한을 설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됐다고 비난했다.
뤼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환구시보에 “중국이 북한 문제로 또 한번 아무 이유 없이 누워서 총을 맞았다”며 “한·미는 북한 미사일을 막기 위해 사드를 배치한다고 하는데 북한은 항상 미사일 발사로 한·미에 맞장구를 쳤다”고 비난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中 외교부 “북, 안보리 결의 위반”… 美와 공조 北엔 경고
입력 2017-02-13 18:09 수정 2017-02-13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