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논란 불구 ‘공공 일자리’ 행보 강행

입력 2017-02-13 18:12 수정 2017-02-13 21:32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경기도 고양시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열린 공공일자리 창출 관련 간담회에서 수행비서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모습. 뉴시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공부문 일자리’ 논란 속에서도 안전 분야 비정규직의 정규직 채용을 약속하며 일자리 행보를 이어갔다.

문 전 대표는 13일 경기도 고양시 한국시설안전공단을 방문해 “공단 직원의 40% 정도인 무기계약 직원도 전부 정규직으로 채용해야 한다”며 “이런 부분만 제대로 돼도 공공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공공부문에서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일자리는 전부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 제 입장”이라며 “안전 분야만큼은 공공·민간을 가리지 않고 정규직으로 채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전 대표의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방안에는 공공기관 비정규직 중 30만∼40만명을 정규직으로 전환 채용하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문 전 대표는 ‘안전’ 문제도 강조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굉장히 높아졌다”며 “안전 분야 종사자 관련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미 경남 진주로 이전한 공단의 수도권본부 존치 문제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문 전 대표는 이번 주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눔 등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공약을 발표할 예정이다. 문 전 대표 측은 “소방공무원 충원 등 구체적인 방안은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이번엔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방안을 설명할 것”이라고 전했다.

문 전 대표 측은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등 후발주자가 요구하는 후보자 토론회에도 적극 참석할 뜻을 밝혔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토론회 불참 공격은 오해에서 비롯된 면이 있었다”며 “앞으로 열리는 토론회는 대부분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