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는 아파트 단지 내 입주민 10명 이상이 주민 간 화합과 갈등해소를 위해 모임을 만들어 활동하면 최대 4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성남시는 지역공동체를 회복하고 마을만들기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공모로 선정된 사업에 300만원에서 최대 600만원까지 예산을 배정한다.
이렇듯 경기도 기초자치단체들이 개인을 넘어 함께 잘사는 ‘살 맛 나는 공동체’ 회복을 위해 갖가지 정책을 내놓고 있다.
용인시는 아파트 공동체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웃사촌 아파트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사업’을 실시할 경우 1개 단지 및 단체 당 최고 4000만원씩 지원키로 하고, 다음달 10일까지 신청을 받는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까지는 예산지원이 전혀 없었으나 올해는 1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대상은 관내 아파트단지 입주자 10명 이상이 사업추진 단체를 구성해 입주자대표회의로부터 승인을 받은 자생단체나 관내 활동 중인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 등록단체다.
사업은 음악회·운동회·장터 등 입주민 화합, 층간소음·흡연 등 갈등 해소, 텃밭 가꾸기 등 친환경 실천, 각종 취미·보육·교육활동 등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사업이다. 시 관계자는 “갈수록 삭막해지는 아파트의 공동체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성남시도 지역공동체를 회복하고 마을만들기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2017년 행복마을만들기 공모사업’을 추진한다. ‘씨앗사업’과 ‘열매사업’ 2가지로 구분해 씨앗사업은 신규 또는 3년 미만 활동한 마을공동체를, 열매사업은 3년 이상 활동한 공동체를 대상으로 한다. 공모사업 설명회는 15일 열린다. 선정되면 공동체당 300만원에서 최대 600만원까지 지원한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 스스로 마을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민들끼리 소통하면서 공동체를 회복해 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경기 지자체 ‘살 맛 나는 공동체’ 회복에 앞장
입력 2017-02-09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