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아동·청소년 강제노동 실태가 1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아동권리위원회 의제로 채택된다.
탈북민 구출 및 선교단체인 갈렙선교회와 휴먼라이츠워치(HRW),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 뉴코리아여성연합은 8일 발표한 공동성명을 통해 유엔 아동권리위 실무진과 사전회의를 갖고 북한 아동 및 청소년들의 열악한 인권 상황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북한의 아동·청소년 노동착취, 교육받을 기회 박탈, 제3국 내 탈북여성 자녀의 인권 상황, 학교 내 체벌, 건설전문 유사 군대체계인 ‘돌격대’의 청소년 노동착취 등을 유엔 아동권리위에 상세히 알릴 계획이다. 비공개로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탈북민 16세 전모양, 18세 김모양이 나와 북한 학교에서 이뤄지는 ‘모내기 전투’ 등 강제노동 실태를 구체적으로 증언한다.
갈렙선교회 등은 성명에서 “북한은 강제노동과 차별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고 노동착취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필 로버트슨 HRW 아시아부국장은 “미성년자 강제노동은 국제적으로 비난받는 혹독한 인권유린임에도 많은 북한 학생들에게는 일상생활과도 같다”며 “유엔 아동권리위는 북한 당국에 이런 가혹한 행위에 대해 진실을 밝히고 노동착취를 당장 멈출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소학교 때부터 대학까지 노동력 착취가 이뤄지며 조선소년단, 김일성·김정일청년동맹 같은 당 외곽 조직에서도 강제노동을 조직화하고 있다.
강제노동에 동원되는 학생들은 농사나 건설, 도로·철길 개보수 작업 등을 해야 하고 정기적으로 폐철 폐지 토끼가죽 등을 학교에 ‘경제 과제’로 제출해야 한다. 학생들이 경제과제를 제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현금으로 대신 내야 한다.
북한 당국은 또한 의무교육이 끝나는 16∼17세 청소년들을 전문건설 부대인 돌격대에 배치한다. 돌격대 대원은 주로 사회기반시설과 건물 건축 작업에 투입된다. 출신성분이 좋지 않거나 육체적 조건이 좋지 않아 군복무가 힘들고, 가난한 집안의 청소년들이 배치돼 10년 복무기간 동안 무보수 노동을 당하고 있다.
ICNK 권은경 사무국장은 “돌격대 청소년들은 처참한 상태에서 노동착취를 당하고 돌격대를 떠날 자유마저 없다”며 “이런 노예제도는 즉각 철폐돼야 하며 북한 당국자들에 대한 책임규명이 명확히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북한은 이미 70년 전 아동 노동이 법적으로 폐지됐다며 이 같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북한은 아동권리협약 당사국이다.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
[단독] 北 청소년 10년간 강제노동 시달린다
입력 2017-02-09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