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문화올림픽’은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국민적 붐을 일으키고 지속가능한 문화유산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9일 1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문화예술·콘텐츠, 관광 및 홍보 분야로 구성된 평창 문화올림픽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평창 문화올림픽은 올림픽 기간 전후에 올림픽 행사의 일부로 전개되는 문화 프로그램이다.
먼저 문화예술·콘텐츠 분야. 국민들의 관심을 모으기 위해 개막-100일 등 주요계기별 카운트다운 행사, 1만인 대합창 등 국민 참여형 이벤트를 준비했다. 아울러 정보통신기술 기반 콘텐츠 체험, 한류 공연, 국가대표 문화예술(K-Art) 행사 등을 개최한다. 또 지속 가능한 올림픽 문화유산을 구축하기 위해 한·중·일 문화올림픽 교류, 개최지 강원도의 문화 콘텐츠 확충 등을 계획했다.
관광 분야에서는 강원도 내 숙박시설 및 안내시스템 등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차별화된 마케팅을 추진한다. 홍보 분야에서는 가장 시급한 과제인 올림픽 붐업 조성에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이제는 평창입니다’라는 대국민 슬로건을 확산하는 한편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확대하기로 했다.
하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탄핵정국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올림픽에 대한 국민들의 냉소적인 마음이 누그러들 수 있을지 의문이다. 게다가 문화올림픽 추진계획 안에 포함된 내용들 상당수가 기존 프로그램에 ‘평창올림픽 연계’라는 타이틀을 달았을 뿐 참신하지 않다.
새로운 프로그램은 단발적인 이벤트거나 준비상황이 미덥지 못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올림픽 기간 동안 각종 문화행사의 무대가 될 강릉 올림픽아트센터는 11월 준공 예정인데도 아직 운영계획조차 마련되지 못했다. 공연장 인력도 겨우 2명뿐이다.
문체부는 문화올림픽에 국립창극단·국립발레단 등 산하 국립 예술단체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다만 이 단체들은 정확한 공연 계획 등 문체부 방침이 없어 답답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국립오페라단은 7월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스키점프대에서 올림픽 기념 야외오페라 ‘마술피리’를 올리려던 계획을 8월말 서울 올림픽공원으로 바꿨다. 평창의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은 것이다. 35억원이 투입되는 이 야외오페라는 지휘자 연출가 성악가 등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문화올림픽 프로그램 가운데 실현 가능성이 낮은 것도 다수 보인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한·중·일 문화올림픽 로드’다. 2018년 평창, 2020년 도쿄, 2022년 베이징 등 동북아시아에서 릴레이로 올림픽이 개최되는 것을 계기로 3개국의 문화교류를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중국과는 사드 배치 문제, 일본과는 위안부와 독도 문제로 관계가 악화된 상황인데다 시간적으로도 너무 늦어 준비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세계를 사로잡을 올림픽 문화유산 만든다
입력 2017-02-09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