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방서 러브콜… ‘몸값’ 뛴 金의 선택은

입력 2017-02-08 18:03 수정 2017-02-08 21:20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8일 오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한반도 평화재단 정치·경제포럼 참석을 위해 기념관 대강당으로 들어오고 있다. 뉴시스

‘우클릭 안희정’과 ‘경제민주화 김종인’의 연대는 단숨에 중도 진영을 끌어들일 수 있는 카드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대연정 제안으로 정치영역 확대를 꾀하고 있고, 경제민주화 정책은 중도·보수 진영에서도 강한 흡인력을 갖고 있다. 전날 “탈당은 하지 않는다”며 무성한 소문을 일축한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행선지도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안희정·김종인 연대’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낙마로 제3지대론의 불씨가 사그라든 상황에서 실현 가능성이 높은 중도연합이다. 정권교체를 원하는 민심 역시 안·김 연대에 대한 거부감이 덜한 편이다. 안 지사는 “대통령을 복지부 장관 뽑듯 뽑아선 안 된다”며 정책은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는 소신도 여러 차례 드러냈다.

다만 김 전 대표가 안 지사의 경제정책 전권 제안을 받아들이더라도 어떤 형태로 연대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평소 김 전 대표는 책임총리 구상에 대해 ‘무의미하다’고 혹평했다. 제왕적 대통령제 아래에서 권력을 나눠준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김 전 대표는 8일 기자들과 만나 “나라가 반반씩 둘로 나뉘어 누가 집권하든 나머지 반은 절대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며 “다음 정부는 공동정부 성격을 머릿속에 갖고 있지 않으면 나라를 끌고 갈 수 없다”고 말했다. 안 지사를 도울 것이냐는 질문에는 “스스로 해야지 누가 도와준다고 잘되는 건 아니다”며 확답을 피했다.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이재명 성남시장, 국민의당, 바른정당도 김 전 대표와 접촉면을 늘려가기는 마찬가지다. 문 전 대표의 경우 김 전 대표를 영입하면 ‘패권주의’ 비판을 불식시킬 수 있다. 양측과 가까운 의원들이 나서서 관계 개선을 타진하고 있지만 큰 진척은 없는 상황이다. 이 시장 측도 김 전 대표 측과 잇따라 접촉하고 있고, 국민의당은 박지원 대표와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이 직접 나섰다. 바른정당도 중량감 있는 의원들이 김 전 대표와 연락을 취하고 있다.

김 전 대표에 대한 ‘러브콜’은 중도·진보를 아우르는 그의 정책이 가장 큰 이유다. 특히 차기 대통령은 ‘독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가계부채를 비롯한 경제 상황이 위중하다. 그는 노태우정부에서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일하며 조지 슐츠 전 국무장관 등 미국 공화당 주류 인사들과도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김 전 대표의 독자 출마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차기 정부를 위기관리용 ‘3년 과도정부’로 삼아 김 전 대표가 개헌을 완수한 뒤 2020년 대선을 치르자는 구상이다. 바른정당, 국민의당이 각자 경선을 한 뒤 김 전 대표를 포함해 단일화하는 이른바 ‘비패권 단일화’ 구상도 일각에서 추진되고 있다.

문제는 독자 세력화 여부다. 지지 세력이 없는 그가 민주당 경선에 참여하거나 홀로 탈당해 다른 당의 경선에 참여하는 건 쉽지 않다. 민주당 비주류 의원의 동반 탈당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정권교체가 유력한 상황에서 실현 가능성이 낮다. 한 민주당 비주류 의원은 “그럴 가능성이 ‘있다’ ‘없다’ 말하기 힘들다. 지금은 모든 구상이 초기 단계”라고 말했다.

김 전 대표의 9일 대전 방문을 놓고도 ‘독자 행보’인지 안 지사 ‘지원사격’인지 해석이 엇갈린다. 김 전 대표는 오는 17∼19일 독일 뮌헨 안보회의에서 국제정세 변화에 따른 한반도의 외교안보 노선을 발표한 뒤 귀국해 거취를 밝힐 예정이다.

강준구 최승욱 정건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