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3·1운동 100주년이자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인 2019년을 목표로 서대문독립공원 인근에 최초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건립을 추진한다. 또 기념관을 중심으로 딜쿠샤, 독립문, 옛 서대문형무소 등을 연결하는 ‘독립운동 유적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1운동의 도화선이 됐던 2·8독립선언 기념일인 8일 서대문 독립공원 내 옛 서대문형무소에서 이 같은 내용의 ‘3·1운동 100주년 맞이 서울시 기념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독립운동 기념시설 조성, 시민참여 행사 및 교육, 독립유공자 예우 강화 등 3대 분야 총 17개 사업을 3년에 걸쳐 단계별로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안국역 항일 독립운동 테마역사 등 독립운동과 관련된 6대 역사·문화 랜드마크를 조성하기로 했다.
임시정부 기념관은 국가보훈처와 협력해 시유지인 서대문구의회 자리에 지하 1층, 지상 4층(총면적 5000∼6000㎡) 규모로 2019년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또 한용운, 여운형 등 독립운동가의 집터가 가까운 안국역은 오는 8월까지 ‘독립운동 테마역사’로 조성한다.
삼일대로(종로∼북촌) 일대는 내년까지 3·1운동 대표길로 조성하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기로 했다. 서울도서관에는 고은 시인의 작품 ‘만인보’에 수록된 독립운동가들의 업적과 관련 작품을 전시하는 ‘만인보의 방’이 마련된다.
또 3·1운동 독립선언서 등을 외신으로 최초 보도한 미국인 앨버트 테일러가 살던 집인 딜쿠샤를 2019년까지 원형으로 복원해 역사기념관 및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딜쿠샤, 러시아공사관, 미국공사관, 프랑스공사관 터 등을 연계한 도보관광 벨트도 조성한다. 일제 강점기 통감부와 조선신궁 등이 있었던 남산 예장자락 일대는 일제 침략의 역사를 되새겨보는 탐방로(남산국치의 길)로 조성한다.
이와 함께 독립운동 유공자 후손과 국가유공자 등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매년 74억원을 추가 투입, 올해 4분기부터 저소득 국가유공자(서울 거주 국가유공자 중 기준 중위소득 50% 미만) 5200여명에게 정부 지원과 별도로 월 10만원의 생활보조수당을 지급한다. 4·19혁명 유공자와 5·18민주화운동 유공자에게도 월 5만원씩 보훈예우수당을 지급한다. 또 올 하반기부터 서울시립대 등록금 면제 대상을 기존 독립유공자 후손 2대손에서 5대손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시민과 학생 1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지난 100년의 역사를 바로 알기 위한 다양한 무료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시민들이 3·1운동의 정신을 기억하고 일상의 삶에서 그 정신을 되살려내 새로운 대한민국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글=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
‘3·1운동 100주년’ 2019년 임시정부 기념관 세운다
입력 2017-02-08 17:47 수정 2017-02-08 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