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 이전설은 사실무근… 인천시와 협력할 것”

입력 2017-02-08 19:43 수정 2017-02-08 21:25
하워드 뱀지(왼쪽) GCF(녹색기후기금) 신임 사무총장이 8일 인천시청 접견실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을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개발도상국의 녹색사업 활성화를 위해 국제공모 방식으로 인천 송도 G타워에서 일할 사무국 직원 40명을 추가 영입하고, 사무공간도 2개층을 늘리게 됐습니다.”

하워드 뱀지 신임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은 8일 “현재 한국인 42명을 포함해 106명이 송도국제도시에서 거주하면서 각국 정부의 사업계획서를 검토해 개도국에 녹색기금을 지원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GCF는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유엔 기구로 사무국이 송도에 있다.

뱀지 총장은 “각국 정부가 사업을 제안하면 주변국 동의를 전제로 1∼3차 검토를 거쳐 이사회에 상정된다”며 “연 2회 열리는 이사회에 300명 규모의 참가자들이 송도에서 1주일간 체류한다”고 전했다. 그는 “GCF 녹색기금을 활용한 능력배양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관계자들이 송도에 체류하면서 경제활동을 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GCF가 서부 사하라사막 기후회복력강화 말리국가프로젝트에 2억2800만 달러를 포함해 35건 14억9000만 달러(1조8000억원) 규모의 기후변화 대응사업 자금을 지원하는 등 초기단계를 벗어났다”고 역설했다.

뱀지 총장은 또 “지원 결정 이후 각국 정부 관계자들이 수시로 GCF와의 업무 협의를 위해 송도를 방문한다”며 “지난해 식목일에 인천시의 300만 그루 나무심기 운동에 발맞춰 송도에 GCF동산을 조성하는 등 지역민과의 소통에도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0일 제2대 사무총장으로 취임한 뱀지 총장은 이날 오전 유정복 인천시장을 만나 인천시와의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두 사람은 한국정부와 인천시가 GCF에 소홀해 사무국이 다른 나라로 거점을 옮길 것이라는 설이 나돈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뱀지 총장은 호주 국립대 교수 출신으로 2013년 한국에 본부를 두고 있는 GGGI(녹색성장연구소) 사무총장을 지낸 바 있다. 2006∼2007년 유엔 기후변화대응 장기협력 대화채널 공동의장을 지냈고 2008∼2010년에는 호주의 기후변화 특사, 호주 국제개발청 녹색성장 특별 자문관으로 근무했다. 그는 4년간 GCF 사무국을 이끌게 된다. 그의 임기 중 북한 나무심기 운동을 전개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진다.

뱀지 총장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있는 G타워 6개층의 층당 임대료 6000만원을 인천시가 대납해주고, GCF 직원들을 위해 24시간 통역서비스와 통근버스를 제공해준 것에 감사한다”며 GCF와 인천시의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