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민주화운동의 상징인 5·18 기념행사를 ‘세계의 심장’ 유엔(UN)에서 개최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번 행사가 성사되면 5·18의 세계화와 진실규명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5·18기념재단은 8일 “5·18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행사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갖기 위해 유엔의 비정부기구(NGO)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 비정부기구 연락사무소 위원이자 5·18재단 국제자문위원인 욤비 토나(51) 광주대 교수가 지난달 뉴욕을 방문, 유엔 측에 신청서를 전달했다.
5·18재단은 신청서에서 “오는 5월 26일 5·18 기념행사를 세계 평화유지와 전쟁방지를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인 유엔본부에서 개최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5·18재단은 그동안 미국 곳곳에서 5·18 기념식을 해마다 자발적으로 개최해온 미주 한인회와 국제기구 관계자, 5·18을 연구해온 세계 각국의 석학 등이 유엔 기념행사에 참석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행사는 5·18민주화운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어둠을 넘어서’ 영문판 출간 기념식도 겸하게 된다. 미국 정부 관계자로서 5·18기록물을 최초로 기증한 마크 리퍼트 전 주한미국대사도 기념행사에 동석할 가능성이 높다고 5·18재단은 덧붙였다.
하지만 유엔 비정부기구 담당자는 “5·18재단의 경우 유엔에 등록된 비정부기구가 아니어서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대사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5·18재단은 지난 5일 외교부 소속인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에 기념행사 개최 동의를 요구하는 전자우편을 발송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협조를 구하고 있다.
5·18재단은 유엔 5·18기념행사가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해마다 열려온 정부 공식 기념식과는 별개의 국제연대 행사로 추진된다고 밝혔다. 재단은 20일 뉴욕을 재방문하는 욤비 토나 교수와 광주시 국제관계 대사를 통해 유엔과 구체적 일정을 협의할 계획이다.
5·18재단은 유엔 비정부기구 등록을 추진하되 여의치 않을 경우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동의 등 정부 승인을 거쳐 기념행사를 개최한다는 방침이다.
김양래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유엔본부에서 5·18기념행사가 열리면 5·18의 세계화는 물론 5·18에 대한 왜곡이 줄어들고 진실규명 작업은 한층 속도를 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올해 5·18기념행사 유엔본부서 개최 추진
입력 2017-02-08 1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