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SK·롯데 수사 방파제?

입력 2017-02-08 05:03
박영수 특별검사팀 뇌물죄 수사의 핵심인 삼성그룹이 다른 연루 기업들에는 수사 확대를 막아주는 방파제가 되고 있다.

특검 관계자는 7일 “삼성 문제를 풀지 못하면 다른 기업으로 수사가 넘어가기 어렵다”고 말했다. 수사 종착지인 박근혜 대통령과의 승부를 위해 당면 과제인 삼성의 뇌물공여 혐의 입증에 주력해야 할 상황이란 뜻이다. 특검팀은 지난달 16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삼성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204억원도 뇌물의 범주에 넣었다.

재단 출연금에 대한 성격 규정은 역시 두 재단에 돈을 낸 SK(111억원), 롯데(45억원) 등 다른 대기업 처벌 문제와도 연결되는 사안이다. SK나 롯데 등은 총수 사면, 면세점 사업 등과 관련한 부정한 청탁이 존재할 소지들도 있다. 이들 기업은 모두 삼성이 썼던 대로 ‘강요에 따른 피해자’라는 방어논리를 내세우는 상태다.

특검팀은 지난 3일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위원회를 동시에 압수수색하는 등 삼성 뇌물 수사 고삐를 계속 죄는 중이다. 최근 추가로 확보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업무수첩 37권에서도 뇌물의 단서를 찾고 있다. 특검팀은 이를 종합해 오는 15∼17일 한 차례 구속 시도 실패를 경험한 이 부회장의 신병처리 문제를 비롯해 삼성 수사의 방향을 결론짓겠다는 계획이다.

이후 특검팀의 1차 수사기간은 열흘 정도밖에 남지 않게 된다. 여러 갈래로 진행한 수사 결과를 모아 최종 마무리 작업을 하기에도 빠듯한 시간이다. 삼성이 특검의 시간과 노력을 잡아먹으면서 후순위로 대기 중인 다른 대기업 혐의까지 손댈 여력이 줄어든 셈이다.

특검은 삼성 수사를 매듭짓는 데 우선 총력을 기울이고, 다른 대기업 수사는 검찰에 맡기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변수는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 문제다. 이미 특검은 “수사기간 연장 신청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를 수용하면 다수의 대기업 총수들이 특검의 사정권 안에 30일간 추가로 놓여 있게 된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