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난해 12월 민족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추진했던 ‘신라사대계’ 편찬을 최종 완료하고 후속사업으로 ’신라사 대중화 및 활용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라는 제목의 신라사대계는 5년에 걸쳐 신라사 관련학자 136명이 참여해 집필한 22권의 연구총서와 8권의 자료집으로 경북도가 지난해 발간했다. 신라사대계는 신라사 연구 성과들을 집대성하고 이를 재해석해 신라사 전체를 보여주는 품격 있는 대중 역사서로 평가받고 있다.
도가 추진하는 신라사 대중화사업은 신라사대계 전 30권(연구총서 22권·자료집 8권)을 PDF 파일로 도 홈페이지(gb.go.kr)에 게재하고 전자매체에 파일을 다운로드해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도는 3월말까지 언제 어디서나 신라사대계를 접할 수 있도록 기본기능과 통합검색, 키워드 검색 등 여러 확장 검색 기능을 갖춘 전자책(e-Book) 시스템을 구축,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신라사대계를 제작·보급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올 하반기 서울역사박물관 등에서 집필진이 직접 신라사대계를 쉽게 풀어주는 30강 정도의 신라사 강좌를 개설해 신라사 관련 내용을 집중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이를 위해 신라사대계 축약본을 통해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연구총서의 내용을 축약·정리한 역사편과 문화편 2권을 출간한다.
하반기에는 신라사대계-백제사 공동연구 및 교류 사업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이 사업이 중부권정책협의회 정책과제 일환으로 추진됨에 따라 한국 고대사에 대한 역사인식 차이를 해소하고 동서, 남북간 소통이 가능한 역사의식을 갖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원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6일 “올해 ‘신라사대계’를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대중화와 활용사업을 적극 추진해 다양하고 차별화된 문화관광 콘텐츠개발을 통해 문화진흥과 문화유산의 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신라 本家’ 경북도 新羅史 대중화·활용사업 본격화
입력 2017-02-06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