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천역 일대 ‘생명친화적 재생’ 프로젝트 본격화

입력 2017-02-07 00:01
경인전철 동인천역 북광장 일대 뉴스테이 조감도. 인천시가 동인천역 일대에 80층 규모의 초고층 빌딩 건축을 허용하면서 기관투자자들이 참여해 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인천시 제공

인천광역시가 어려운 숙제였던 원도심 개발의 해답을 동인천과 민간자본에서 찾았다. 인천시는 2022년까지 약 2조원의 민간자본을 유치해 10년 이상 정체됐던 동인천역 주변지역을 생명친화적으로 재생하는 ‘동인천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6일 발표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경인전철로 단절된 남과 북을 지하와 지상으로 연결해 도심공간을 회복시키겠다”며 “막대한 공공자금이 투입되는 선보상 방식의 공영개발 실패를 교훈삼아 기관투자자들의 참여를 바탕으로 민자유치를 통해 사업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지역에는 앞으로 80층 규모의 대규모 복합시설과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 방식으로 5816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된다. 기존에는 초고층 건물이 가능한 용적률을 허용하지 않아 투자자를 모으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뉴스테이는 주민들의 재정착을 위해 원주민에게는 이주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분양대상 가능자에게 주택을 공급하는 ‘둥지 보존형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은 현재 십정2구역과 송림초교 주변구역의 기업형 임대주택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마이마 알이가 민간자본을 유치하고 사업을 공동으로 시행하자는 제안을 인천시가 받아들여 성사됐다. 앞으로 인천시는 행정지원, 사업자는 자금조달 및 사업시행을 맡게 된다.

시는 토지면적의 80% 이상 매각 동의를 받아 공익사업으로 지정하고, 토지면적의 50%이상 동의 및 매입을 통해 뉴스테이 공급 촉진지구 지정 및 사업시행자의 지위를 받아 추진하게 된다.

사업비 1조9763억원은 하나금융투자 등 금융기관과 자산운용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액 민간자본으로 충당한다. 하지만 인천시의 사업참여를 통해 민간사업이지만 공영방식의 보상이 가능하도록 법적 절차를 거쳐 토지등 수요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방침이다.

시는 뉴스테이 촉진지구를 원도심의 중심지에 계획하고, 역세권 중심의 구역별 조화와 새로운 주거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대상지 19만5877.6㎡의 7.3%를 차지하는 중심상업지구에는 호텔, 유통시설, MICE시설 등이 입주할 80층 규모의 복합시설과 연도형 상가시설이 들어선다.

높이가 330m에 달하는 초고층 시설은 현재의 동인천역 북광장 주차장 부지에 들어서 인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원도심의 부활을 상징하는 건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후 주거단지에는 5816가구의 뉴스테이가 건립된다.

이를 통해 동인천지역은 ‘원도심 안의 단단한 뿌리 도시’로 거듭나게 되며 원주민들이 떠나지 않고 재정착할 수 있게 하는 ‘인간 중심 개발’을 선보이게 된다.

시는 이르면 2018년 상반기에 착공한 뒤 6개 구역으로 구분해 4단계 사업을 거쳐 2022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