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계 의원들이 지난 주말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이른바 ‘태극기 집회’에 참석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비상대책위원과 이인제 전 최고위원도 함께했다. 촛불집회를 선동 정치라고 비난했던 그들이 길거리에 앉아 ‘탄핵 반대’ 구호를 외친 것이다. 탄핵 정국에서 숨죽여 왔던 이들이 태극기 집회에 참석한 이유는 뻔하다. 탄핵 반대 여론이 조금씩 늘어나자 태극기 집회를 자신의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계산이다. 같은 날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은 촛불집회를 찾았다. 이들의 계산도 새누리당 대선 후보들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상당수 대선 후보들은 발걸음을 하지 않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촛불집회와 거리를 둬왔고,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박 대통령 탄핵안 국회 가결 뒤부터 불참해왔다. 정국 안정이 우선이라는 이유에서다.
특검은 박 대통령 대면조사를 앞두고 있고, 헌법재판소는 결정을 앞두고 변론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럼에도 양측 집회에선 특검과 헌재의 권위에 도전하는 정치적 구호들이 난무하고 있다. 특히 정치인들은 자신의 이해득실에 따라 이를 부추기고 있다. 특검 수사가 마무리되고 헌재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어느 한쪽은 수용 불가를 외칠 태세다. 장기간 보-혁 이념 갈등의 소용돌이에 휘말릴까 우려된다.
정치권이 앞장서서 양측 집회의 순수성을 지켜줘야 한다. 헌재 심리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줘야 하는 것도 당연하다. 정치인들은 양측 집회에서 빠져야 한다. 인명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친박계 인사들의 태극기 집회 참가 금지령을 내린 것은 시의적절한 결정이다. 특히 “모든 대선 주자와 여야 정치권이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고 미리 약속해야 한다”는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의 제안은 되새겨볼 만하다.
[사설] 정치인들은 촛불·태극기 집회서 빠져라
입력 2017-02-06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