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줄어드는 SKT, 대반격 나서나

입력 2017-02-06 05:17

이동통신 3사가 지난해 마케팅 비용을 모두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으로 인해 보조금 경쟁을 벌이지 않은 게 가장 큰 이유다. 하지만 올해 9월 말로 보조금 상한선이 폐지됨에 따라 치열한 경쟁이 재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시장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SK텔레콤의 반격에 관심이 쏠린다.

5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지난해 마케팅 비용으로 2조9530억원을 투입했다. 2015년 3조550억원보다 3.3% 줄어든 액수다. KT와 LG유플러스도 지난해 2조7142억원과 1조9515억원으로 각각 3.5%, 2.4% 투자를 줄였다.

단통법 시행 이후 휴대전화 시장이 전반적으로 둔화하면서 이통사들은 마케팅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무리하게 서로 남의 고객을 뺏고 자신의 고객을 뺏기는 ‘출혈경쟁’을 할 이유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해 번호이동 건수는 704만9902건이다. 단통법이 시행된 2014년부터 3년 연속 1000만건 이하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는 해마다 1000만건 이상이었다.

올해는 상황이 다르게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변수는 올 9월 말 보조금 상한선 폐지다. 현재는 보조금을 33만원 이상 지급할 수 없지만 10월 1일부터는 이통사가 원하는 대로 금액을 책정할 수 있다. 이통사가 마음먹기에 따라 공격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는 것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국내 시장은 스마트폰 종류가 많지 않고, 요금제도 엇비슷하기 때문에 경쟁을 벌인다면 결국 보조금밖에 없다”면서 “어느 이통사도 예전처럼 경쟁하는 걸 원하지 않지만 상황이 발생하면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SK텔레콤이 어떤 전략을 취할지 업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SK텔레콤은 일단 출혈경쟁은 지양한다는 입장이다. 임봉호 서비스전략본부장은 지난 3일 실적발표 후 “무리한 경쟁보다 상품, 서비스 차별화로 1위 자리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5G 등 미래 먹거리에 3년간 11조원을 집중할 예정이라고 발표해 현재보다는 미래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지난해 CJ헬로비전 인수가 무산돼 회사 분위기가 위축된 데다 이동통신 시장에서 더 이상 밀리면 안 된다는 위기감이 내부적으로 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글=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