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오르는 안희정… 당에선 견제, 밖에선 엄호

입력 2017-02-06 05:28
안희정 충남지사가 5일 서울 성북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아이 키우기 브런치 토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안희정 충남지사에 대한 정치권의 견제가 본격화되고 있다.

야권 내부에서는 안 지사가 제안했던 ‘대연정’ 논란이 계속됐다. ‘민주당 예선이 본선’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안 지사의 경쟁 주자들은 갑작스럽게 지지율을 높여가는 안 지사를 견제할 필요가 생겼다. ‘문재인 대세론’에 휘둘리던 국민의당과 범보수 진영은 안 지사의 부상을 내심 반기는 모양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5일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에서 “안 지사는 대연정 제안을 철회하고 촛불광장에 나와 국민 앞에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 시장은 “민주당의 정체성을 저버리고 친일독재 부패세력에게 ‘살 길이 있다’는 구조신호를 보내는 대연정은 배신”이라며 “청산대상과 함께 정권을 운영하겠다니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공박했다. 이 시장은 ‘안희정 돌풍’의 최대 피해자로 꼽힌다. 안 지사가 같은 충청권 주자였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불출마 등으로 지지율이 상승하자, 이 시장은 당내 2위 자리를 빼앗겼다. 이 시장은 회견에서 대연정을 포함해 복지, 사드 배치 등을 놓고 문재인·안희정·이재명 3자 공개토론을 제안했다. 후보 간 정책 차이를 강조해 자신의 장점인 ‘선명성’을 부각하고, 밀려난 ‘주목도’를 회복하겠다는 복안이다.

안 지사는 “제 대연정 발언이 자꾸 곡해되고 있다. 30년 민주화운동의 소신과 원칙을 가진 정치인 안희정을 폄하하지 말라”고 반박했다. 그는 “재벌개혁을 통과시키려 해도 국회에서 안정적 다수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어렵다”며 “대연정은 정부와 의회의 협치를 위해 안정적 과반을 점하는 과정에서 당 지도부들이 함께 논의해야 할 주제”라고 설명했다.

안 지사를 바라보는 문재인 전 대표 진영의 속내는 복잡하다. 문 전 대표는 3일 안 지사에게 “새누리당·바른정당과는 함께 갈 수 없다”고 견제구를 날렸다. 다만 이튿날 안 지사가 “새누리당을 용서하자는 게 아니다”고 해명하자 “적폐청산과 사회대개혁에 동의하는 세력과 함께하자는 취지 아니겠느냐”며 논쟁을 봉합했다. 문 전 대표 측 내부에는 ‘안희정 돌풍’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은 대연정 제안을 ‘패권주의를 넘어선 긍정적 아이디어’로 반기고 있다. 국민의당은 그동안 ‘제3지대’ ‘빅텐트’ 등 연대와 협치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박지원 대표는 4일 당 국가대개혁위원회 출정식에서 “안 지사가 ‘문재인 산성’을 넘는다면 반 전 총장 사퇴만큼 큰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지원사격에 나섰다.

보수진영도 안 지사를 ‘합리적 정치인’으로 치켜세웠다. 안 지사의 대연정 제안이 이번 대선 국면의 최대 이슈인 ‘심판세력 대 청산대상’ 프레임을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될 것이 확실하다는 판단에서다. 새누리당 정진석 전 원내대표는 “대연정은 효율적인 방안이고 안 지사는 책임 있는 정치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이재명은 대연정에 반대하면서 어떻게 노무현의 길을 주장하는가. 도량이 좁다”고 비판했다. 글=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