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별검사팀이 8∼10일 중 박근혜 대통령 대면조사를 추진하면서 헌정 사상 최초의 현직 대통령 특검 대면조사가 임박했다. 국정농단 사태 수사도 정점을 향하고 있다.
이규철 특검보(대변인)는 5일 “대통령 대면조사 관련 시기 방식 절차에 대해서는 현 단계에서 말씀드릴 수 없다”고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물밑에서는 대면조사 실시에 큰 틀에서 합의하고, 몇몇 이견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대면조사 장소와 대면조사 언론공개 여부 등을 놓고 양측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한다. 특검은 박 대통령을 방문조사하되, 실시 장소는 청와대 외부의 제3의 장소를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청와대는 경호상 어려움 등을 내세워 대면조사 장소로 청와대 경내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위민관 등이 박 대통령 측에서 제시한 장소로 꼽힌다. 양측 입장차가 있자 청와대 안전가옥(안가), 삼청동 금융연수원, 창성동 정부종합청사 별관 등 ‘경호상 문제가 덜한 청와대 외부 장소’가 대안으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조사 시기와 장소를 외부에 공개할지 여부도 민감한 사안이다. 특검은 이번 수사의 하이라이트인 대면조사를 공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청와대는 현직 대통령이 포토라인에 서는 초유의 사태를 막기 위해 비공개 조사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특검 측은 “대면조사 성사를 위해서라면 상황에 따라 비공개 조사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따라 대면조사 장소는 특검의 입장을 수용하고, 비공개 여부는 청와대의 주장이 관철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될 가능성도 있다.
특검으로서는 단 한 번의 조사로 박 대통령 관련 모든 혐의를 확인해야 하는 만큼 조사 준비에 전력을 쏟고 있다. 박 대통령은 최순실(61·구속 기소)씨와 삼성으로 이어지는 뇌물수수 혐의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 지시 의혹, 비선진료 의혹 등 특검이 그간 수사해 온 주요 사안의 정점에 서 있다. 이 때문에 특검도 “반드시 박 대통령을 조사해야 한다”고 거듭 밝혀왔다.
박 대통령은 대기업의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금과 삼성의 최씨 지원 의혹 등을 강하게 반박하며 정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박 대통령은 최근 한 인터넷TV와의 인터뷰에서 “국정농단 의혹은 거짓으로 쌓은 산”이라고 비판했었다. 블랙리스트 관련 의혹도 “모르는 일”이라고 못 박았다.
한편 박 대통령의 탄핵심판 대리인단은 헌법재판소의 요구에 따라 탄핵소추 사유 가운데 박 대통령이 인정하는 사실 부분을 지난 3일 의견서로 제출했다. 종전처럼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주도 의혹, 기밀유출 지시 의혹 등 국회가 탄핵소추 이유로 든 사안 대부분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헌재가 “내용이 부족하다. 대통령 본인이 기억을 되살리라”고 석명(釋明) 처분한 세월호 참사 당시 박 대통령의 행적은 새로 제출되지 않았다. 대리인단 대표 이중환 변호사는 “그 부분은 기존 제출한 것으로 대신했다”고 했다.
노용택 이경원 기자 nyt@kmib.co.kr
대면조사, 특검-靑 신경전… 주중 이뤄질 듯
입력 2017-02-06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