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비정규직·면세점까지… 논란 끊이지 않는 인천공항 새 사업

입력 2017-02-06 05:03
5조원 가까운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간 인천공항 3단계 건설사업이 끊임없는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안전사고 대처 미비, 불소 오염 부지에 공사 강행, 지반 침하 우려와 비정규직 양산 가능성에 더해 면세점과 관련해 관세청과 짬짜미 합의까지 이뤄지면서 면세업계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2여객터미널 신설로 대표되는 인천공항 3단계 건설사업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사활을 걸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제2여객터미널 건설에 2조2000억원, 연결교통망(철도·도로)에 9200억원, 제2교통센터에 2300억원 등 총 4조9303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개장은 오는 10월이다.

그러나 우려도 많다. 안전사고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첫 번째다. 법원은 지난달 31일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신축 공사장 크레인 사고로 사상자를 낸 크레인 운전기사 A씨(58)에게 금고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A씨는 크레인이 작업용량을 초과하면 울리도록 제작된 경보음을 조작해 울리지 않도록 했고, 작업용량이 넘었는지 모르고 크레인을 운전하다가 사고를 냈다. 인천공항 관계자는 “계약을 맺은 중공업 업체의 협력회사 쪽 일이라 사전 점검 여부 등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논란도 끊이지 않는다. 공사가 제2여객터미널 충원 인력 3093명을 비정규직(위탁 업체를 통한 간접 고용)으로 채용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6000여명 수준인 인천공항 비정규직은 9924명으로 늘어나고, 전체 직원 중 비율도 지난해 84.4%에서 올해 87.4%로 상승하게 된다. 인천공항 측은 “정부 방침 탓에 직고용뿐 아니라 자회사를 만들어서 고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며 “인천공항은 그래도 처우가 좋은 편”이라고 해명했다.

지반 침하 우려 해소도 과제다. 감사원에 따르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과 제2여객터미널의 지하를 관통하는 6.4㎞ 길이의 철도터널 공사 중 제3활주로 아래 구간에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내부 관리 기준(15.9㎜)을 초과하는 지반침하가 발생했다. 지하 터널을 뚫는 95개 구간에서는 설계량을 초과해 토사를 파내는 과굴착도 일어났다. 지반 침하는 활주로의 안정과 직결되기에 대책을 마련하라는 게 감사원 의견이었다.

그러나 공사를 위탁받은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인천공항은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다. 침하 깊이가 공항공사의 침하 허용기준치(25㎜)를 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공항공사 측은 “15.9㎜는 공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내부 규정”이라며 “현재 활주로에만 이상 없으면 된 거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환경 변수도 있다. 최근 검찰은 제2여객터미널 공사 현장 일부가 불소에 오염된 사실을 알면서도 안전조치 없이 공사를 강행한 인천공항공사에 대해 벌금 500만원의 약식기소 처분을 내렸다. 앞서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제2터미널 공사 현장 3곳에서 채취한 흙에서 기준치(400㎎/㎏)를 초과하는 502.3㎎/㎏의 불소가 검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따로 정밀조사를 진행했고, 인체에 큰 위협이 없다고 결론내린 상태다. 공사는 검찰에 불복해 재판을 진행할 방침이다.

관세청과 인천공항공사가 제2여객터미널 내 입점할 면세점 사업자 선정을 두고 밥그릇 싸움을 벌이다 지난 3일 공동심사로 합의를 본 것을 놓고도 뒷말은 무성하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안 그래도 비싼 공항 임대료 탓에 수익성이 떨어지는데 심사자가 하나 더 생긴 것을 두고 업계 내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며 “제2여객터미널을 볼모로 관련 업체 등에 대한 인천공항공사의 갑질이 더 심해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중론”이라고 말했다.

글=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