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퇴직을 앞둔 이승철(사진)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이 수십억원의 퇴직금을 받을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최순실 게이트의 핵심 인물인 이 부회장이 전경련 내부 퇴직금 규정을 유리하게 고친 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임기가 끝나는 이달 말 사임할 계획이다. 문제는 그가 받게 될 퇴직금 규모다. 전경련은 개인 퇴직금 관련 사항은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회원사 사이에선 최대 2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 부회장이 전경련 내부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에 입사한 이 부회장은 92년 전경련 사무국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상무와 전무를 거쳐 2013년 2월 상근부회장에 올랐다. 회장을 보좌하고 사무국을 총괄하는 상근부회장 자리에 전경련 내부 직원이 선임된 건 그가 처음이다. 그만큼 내부 지지기반이 탄탄하다는 평이다. 일각에선 이 부회장이 지위를 활용해 퇴직금을 더 많이 받도록 규정을 바꿨다는 의혹까지 나오고 있다. 전경련은 “임원 보수를 포함한 내부 규정 등은 대외비”라며 “2005년 이후 퇴직금 제도는 변화가 없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회원사들의 시각도 곱지 않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전경련이 회원사 이익은 저버린 채 권력에 부역하다 존폐위기에 처했다”며 “그런데도 핵심 인물이 책임도 지지 않고 두둑한 돈만 챙겨서 떠나는 건 회원사에 대한 모독”이라고 말했다. 다른 대기업 관계자도 “기업의 이미지를 스스로 갉아먹은 전경련이 쇄신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기 위한 차원에서 이 부회장에게 퇴직금을 지급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주요 회원사에도 공개되지 않는 전경련 임원의 보수를 투명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회원사 회비로 운영되는 조직이 경영 내용을 함구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경련 내부 직원들이 느끼는 허탈감도 적지 않은 분위기다. 재계 관계자는 “전경련이 추진하고 있는 쇄신안도 이 부회장 주도로 이뤄지고 있다”며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전경련 위기 몰아넣고… 이승철 부회장 수십억 퇴직금 논란
입력 2017-02-03 18:32 수정 2017-02-03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