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교과서 오류만 653건… 교과서 맞나?

입력 2017-02-03 17:54

653건의 오류를 역사교사와 학자들이 국정 역사 교과서 최종본에서 짚어냈다. 최종본 공개 후 사흘간 고교 한국사 1권만 검토했는데 이처럼 무더기로 나왔다. 독도와 임시정부, 독립운동가, 정부 수립 과정 등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가 공들였다고 강조했던 부분에서도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저질 교과서라는 비난도 있었다.

최종본은 교육부와 국사편찬위가 검증을 끝내고 오는 3월부터 연구학교에서 쓰겠다고 내놓은 교과서다. 역사교사들은 “30년 전 폐기된 일제 관변학자 학설까지 나오는 등 도저히 학생에게 가르칠 수 없는 저질 교과서”라고 주장했다.

역사교육연대회의는 사실 오류 195건, 부적절 서술 328건, 편향 서술 113건, 비문 17건 등 오류 653건을 찾아냈다고 3일 밝혔다. 시대별로는 일제강점기 224건, 상고·고대 126건, 현대 103건, 조선 98건, 근대 63건, 고려 39건 순이었다. 이 단체는 지난달 31일 발표된 국정 교과서 최종본에서 도산 안창호 선생이 대한인 국민회 초대회장이 아니었다고 지적, 국사편찬위의 수정 결정을 이끌어냈다.

독도 관련 오류도 제기했다. 국정 교과서 197쪽에 일제의 독도 침탈 과정을 설명하며 “1906년 3월이 되어서야 대한 제국 정부는 울도(울릉도) 군수로부터 일제의 독도 불법 편입 사실을 보고받고”라고 썼다. 연대회의는 “강원도 관찰사 서리 춘천군수 이명래는 보고서를 1906년 4월 29일에 올렸다”며 명백한 오류라고 주장했다.

212쪽 “임시정부가 김규식을 전권 대사로 임명…” 부분도 “김규식이 임시정부 전권 대사로 임명됐다는 자료는 없다”고 반박했다. 222쪽 광주항일학생운동 관련해 “성진회 등 광주 지역 학생운동 조직이 큰 역할을 했다”는 대목은 “성진회는 해산된 조직이고 이를 잇는 독서회가 주도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수립’ 단원 251쪽 “미국은 10월 유엔총회에 한반도 문제를 상정하였다”는 “유엔총회는 10월이 아니라 9월”이라며 정정을 요구했고, 18쪽 신석기 문화를 설명한 부분은 “일제 관변학자들이 주장했고 이미 30년 전 부정된 학설로 이렇게 인식하는 학자는 현재 없다”고 꼬집었다. 80쪽 “고려 태조가 후삼국 통일 후 조세감면을 했다”는 내용도 후삼국 통일(936년) 이후가 아닌 건국(918년) 직후부터 조세감면 정책을 폈다고 했다.

이 단체는 찾아낸 오류를 모두 공개하진 않았다. 연대회의는 “국민 대부분이 반대하는 국정 교과서를 포기하지 않는 교육부의 빨간펜이 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