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가정보원에 해당하는 북한 국가보위성의 부상(차관급)을 비롯한 고위 간부가 다수 처형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보위성 수장이자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오른팔 격인 김원홍(사진) 국가보위상도 지난달 대장(별 넷)에서 소장(별 하나)으로 세 단계 강등된 후 해임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3일 “(노동당 조직지도부) 조사 과정에서 부상급이 포함된 국가보위성 간부 다수가 처형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김원홍이 조직지도부 조사를 받고 대장에서 소장으로 강등된 후 해임됐다”며 “강도 높은 조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처벌 수위와 대상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보위상을 비롯한 보위성 간부의 대거 숙청 원인은 표면적으로는 보위성 조직의 고문 등 인권유린, 권력남용, 부정부패 등이 거론된다. 북한 주민들 사이에선 보위성이 (북한 내) 다른 사법기관들이 다뤄야 할 사건을 파헤치고 횡포를 부려 “깡패와 뭐가 다르냐”는 원성이 높았다고 한다. 일각에선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를 비롯한 고위층의 탈북을 제대로 막지 못한 책임을 물은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북한은 김정은 위원장 체제 출범 이후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러온 보위성에 대한 강도 높은 검열을 지난해 말부터 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근본적으로는 ‘공포 정치’를 통한 지지 기반 다지기, 체제 불만을 전가하려는 김 위원장의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도 동시에 제기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김원홍과 보위성에 책임을 전가해 주민 불만을 달래고, 애민 지도자 이미지를 조작하려는 의도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보위상은 2013년 말 김 위원장 고모부인 장성택 전 노동당 행정부장 숙청을 주도한 실세로 위세를 떨쳐왔다. 2015년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최영건 내각 부총리 처형에도 깊이 관여하는 등 김 위원장 유일체제 구축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김 보위상이) 아직 소장 계급을 갖고 있다면 추후 복권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北, 김원홍 국가보위상 강등·해임… 보위성 고위급 다수 처형
입력 2017-02-04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