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돌풍? “산토끼에 경쟁력 있지만 집토끼가 발목”

입력 2017-02-03 05:00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웃음을 짓고 있다. 유 의원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에 대해 “깊은 고뇌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뉴시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 이후 보수 진영의 대안으로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이 급부상하고 있다. 개혁보수 이미지를 선점하고 ‘정의로운 보수’를 내세워 중도표까지 흡수할 수 있다는 게 강점으로 꼽힌다. ‘육아휴직 3년법’에 이어 ‘칼퇴근법’까지 발표하며 정책 경쟁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다만 여전히 한 자릿수에 머무르는 낮은 지지율이 약점이다.

국민일보는 2일 여론조사 전문가 4명에게 차기 대선에서 유 의원이 여권 후보로 돌풍을 일으킬 가능성을 물었다. 전문가들은 “유 의원이 분열된 보수를 아우를 수 있다면 불가능한 얘기는 아니다”라면서도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진단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 여부, 보수 내 반대세력, 박근혜 대통령과의 관계가 주요 변수로 꼽힌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유 의원 돌풍 가능성에 대해 “반반(半半)”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유 의원이) 세대, 이념, 지역에 있어 외연 확장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인이지만 이 셋 중 어느 것에서도 압도적이지 않다는 점이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유 의원이 보수 지지층 외에 젊은 세대나 중도층 등 ‘산토끼’를 잡는 데에는 경쟁력 있지만 정작 보수 진영 내 확실한 지지기반(집토끼)이 약하다는 의미다. 반 전 총장 불출마 선언 직후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유 의원보다 황 권한대행의 지지율이 높게 나타난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유력 대선주자였던 반 전 총장의 불출마로 보수 진영 후보 단일화 명분은 더 약해졌다”면서 “유 의원이 여권 내 반대파들을 잘 흡수할 수 있느냐가 ‘대세론’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정당 소속인 유 의원이 새누리당 등 보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메시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취지다. 지용근 지앤컴리서치 대표는 “캠프에 친박계 인사도 포섭하는 포용적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 의원은 서울 강남구 한 빌딩에서 열린 스타트업 기업대표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제가 제안한 ‘범보수 단일화’에 새누리당 (대선) 후보도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박 대통령과의 관계는 유 의원 대세론의 큰 변수다. 홍 소장은 “유 의원은 과거 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표 시절 비서실장이었다는 꼬리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대선 국면에서 야권이 유 의원을 공격하는 주요 포인트가 될 것이라는 의미다. 역설적으로 박 대통령에게 ‘배신의 정치’로 지목되면서 유 의원에게는 박 대통령 지지자들의 마음을 얻는 일도 과제다.

유 의원이 경제 전문가로서의 강점을 좀 더 드러내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센터장은 “안보에서 선명한 보수색을 내보인 것에 비해 경제에서는 전문가 이미지를 충분히 부각하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이 중도 표심을 겨냥한 정책을 발표하기는 했지만 아직 큰 틀에서 한국경제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는 미흡했다는 의미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