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원내대표 “내년 지방선거 때 개헌 국민투표 실시… 민주-국민의당 연립정부 협상 시작하자”

입력 2017-02-02 18:20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2월 임시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우 원내대표는 내년 지방선거 때 개헌 국민투표 실시를 제안했다. 최종학 선임기자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가 늦어도 내년 지방선거에선 개헌 국민투표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에는 연립정부 구성을 위한 협상을 공식 제안하며 야권 통합의 시동을 걸었다.

우 원내대표는 2일 임시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대선 전 개헌이 어렵더라도 국회 개헌특위 논의는 더 활발하게 진행돼야 한다”면서 “각 당의 이견을 좁혀서 적어도 다음 지방선거에선 (개헌) 국민투표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에 이어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우 원내대표까지 내년 지방선거를 개헌 적기로 꼽으면서 개헌 논의가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우 원내대표는 또 국민의당에 야권 통합을 제안했다. 그는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힘을 합쳤을 때 정권교체가 확실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라며 “(당내) 패권주의 문제라면 지금 상황에서 얼마든 해결이 가능하다. 공동정부 구성을 위한 연립정부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국민의당을 흔들겠다는 것이 아니라 원대한 꿈을 실현하자고 호소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민의당은 논평을 통해 “국민의당을 지지한 국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합당 운운하며 국민의당을 흔들려는 모략에 강력히 경고한다”고 비판했다.

우 원내대표는 차기 대선에 대해선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이 2월 말∼3월 초에 내려진다면 차기 대선은 4월 말에 치르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헌재의 공정하고 조속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수정권 10년간 경제가 추락하고 외교안보, 민주주의가 무너졌다. 총체적 실패 그 자체”라며 “정권교체를 통해 10년 실패를 청산하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일 위안부 합의와 미국 사드(THAAD) 등을 거론하며 “탄핵과 조기대선 국면에서는 주변국과의 주요 갈등 이슈를 관리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월 임시국회 3대 핵심과제로는 재벌·검찰·언론개혁을 꼽았다. 또 국정교과서 금지법,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2기 구성 등도 개혁과제로 거론했다.

글=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