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발포명령자 등 ‘그날의 진실’을 찾기 위한 규명작업이 37년여 만에 본 궤도에 오른다. 그동안 정부 차원에서 추진된 역사바로세우기운동과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등이 완결하지 못한 진상규명을 이번에 제대로 마무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광주광역시는 2일 “베일에 싸인 5·18의 핵심쟁점을 풀기 위한 ‘5·18진실규명 지원단’이 오는 6일 출범한다”고 밝혔다. 5급 사무관을 단장으로 6급 2명과 지난 1일 위촉된 나의갑(68) 진실규명자문관(전 전남일보 편집국장)을 포함한 4명의 전담자로 구성된 지원단이 현판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 지원단은 필요할 경우 해당 분야 전문가를 추가 채용해 진실 찾기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1980년 5·18 발발과 95년 특별법, 97년 국가기념일 제정 이후 5월 피해자 집단배상을 위한 공식기구가 광주시에 설치된 적은 있으나 순수한 진실규명 차원은 이번이 처음이다.
5·18진실규명 지원단은 그동안 축적된 증거와 자료를 분석해 ‘미완의 과제’로 인식돼온 그날의 발포명령자와 민간인·민간빌딩을 향한 헬기기총 소사, 집단 암매장 등 5·18의 숨겨진 진실 찾기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또 5·18기념재단 등 5월 단체와 5·18기록관, 학계와 연계해 진실규명을 요구하는 전국적인 여론 형성을 주도하고 국가차원의 공식 진상보고서 채택·발간도 촉구할 계획이다. 5·18을 왜곡·폄훼한 교육부의 국정교과서 폐기운동도 지원단의 관심대상이다.
시는 5·18기록관에 공무원 등 10여명으로 별도의 태스크포스팀을 꾸려 진실규명 작업을 돕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3차례의 현장감식을 통해 감정보고서를 작성한 전일빌딩 헬기총격, 리퍼트 전 미국대사의 기증문서, 비밀 해제된 미국 CIA파일 등의 신빙성 높은 자료가 추가 확보된 데다 유력 대권주자 등 정치권도 적극 동참 의지를 보이는 만큼 5·18진실규명이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현대사의 비극이 된 5·18은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에 등재되는 등 지금까지 세계화에는 일정한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그날 이후 37년이 흘렀으나 계엄군 지휘부의 최초 집단발포 명령자, 무장헬기 동원과 공중사격, 암매장 여부, 정확한 사망·부상자 등 진실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불의에 항거한 5·18의 진실규명은 반드시 해결해야 될 숙제”라며 “차기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로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시, 5·18 숨겨진 진실 파헤친다
입력 2017-02-02 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