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분리 아닌 융·복합… 정부 ‘4차 혁명’ 정책 달라졌다

입력 2017-02-03 05:03
정부가 유통과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4차 산업혁명의 유전자(DNA)를 이식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이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른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혁신기술이 산업현장에 적용되면서 일어나는 생산성 혁명을 말한다. 스마트카, 스마트홈, 스마트공장이 대표적이다.

그동안 정부는 관련 정책을 끊임없이 내놨지만 제각각이었다. 기존 산업은 물론 4차 산업의 기본이 되는 제조업과 분리했다. 대표적인 게 지난해 6월 발표한 서비스경제 발전전략이다. 정부는 제조업에 연구·개발(R&D) 투자가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다며, 서비스산업의 R&D 투자를 제조업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그러나 최근 정부 정책이 달라졌다. 키워드는 융·복합이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서비스 R&D에 2021년까지 총 4조7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면서 “서비스업 생산성 제고와 제조업-서비스업 간 융합을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뒷받침하고 서비스 분야에 R&D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같은 날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유통업계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유통이라는 서비스업에 4차 산업을 융합하기 위한 ‘유통산업 혁신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내놨다. 유통 산업 내 산업 간 융합 생태계를 조성하고 4차 산업 신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물론 전자상거래 국제규범 제정을 선도해 한국 기업의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장애도 제거하기로 했다.

에너지 산업도 4차 산업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전력은 최근 전자통신연구원, 한전KDN, 한국광기술원 등 전문기관들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에너지 분야 생태계 조성 및 국가 신성장 추진동력 강화를 위한 전력분야 토론회를 개최했다.

주 장관은 지난달 다보스포럼에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등 세계 주요 경제 지도자들과의 비공식 모임에서 4차 산업이 다양한 산업을 제조업과 연결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고 전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4차 산업을 통해 제조업의 미래를 어떻게 구현할지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2일 “신산업 협의회가 있는데 앞으로 전개될 4차 산업혁명의 시나리오 등을 고민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을 4차 산업에 동참시키기 위한 고민도 그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