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통상분쟁 확대 비상 걸린 수출업계

입력 2017-02-01 18:04 수정 2017-02-01 21:1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환율전쟁을 예고하면서 국내 수출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한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 수출 기업들은 무역제재 등 직접적인 충격을 받게 된다. 높은 관세가 매겨지는 등 관세 보복뿐 아니라 수입 제한 등의 조치가 내려질 가능성도 있다.

한국이 환율조작국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수출 견제에 나서면 국내 기업에도 부담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대(對)중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5.1%에 달한다. 이 중 60∼70%는 중국에서 조립돼 제3국으로 수출되는 중간재다. 상당수가 미국으로 건너가는데 미국이 중국산 수입을 줄이면 중국 내 한국 중간재 수입 역시 줄어들게 된다.

달러 약세 역시 국내 기업에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트럼프는 줄곧 위안화 절상을 압박해오고 있다. 국내 경제는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원화와 위안화가 동조하는 현상을 보인다. 위안화가 절상되면 원화 역시 강세로 이어진다. 수출 거래 대부분이 달러로 결제가 이뤄지기 때문에 달러 약세가 지속되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기업 수익성도 악화된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상담당 김태년 상무는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면 가격 경쟁력이 낮아져 자동차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미국 현지에 추가 공장을 건설하지 않는 한 상황이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코트라 관계자도 “자동차나 자동차 부품, 철강, 섬유·의류 등 가격이 민감한 산업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 보인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피해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환율에 대한 완충능력이 부족해 환율 변동에 따른 충격을 고스란히 떠안게 되기 때문이다.

업계는 일단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중국에 공장을 두고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 수출품 경쟁력이 낮아지게 된다”며 “각국의 환율 정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학업계 관계자는 “환율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 투자나 개발비 축소로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중국과 미국 무역 분쟁으로 이어질 경우 석유제품 수요가 감소해 수출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글=허경구 기자 nine@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