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사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일본이 환율을 조작한다”며 ‘환율전쟁’의 포문을 열었다. 트럼프 행정부가 환율조작국 낙인을 남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이미 환율관찰대상국에 포함된 한국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트럼프는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 제약업계 임원들을 만나 “중국과 일본이 지난 수년간 무슨 짓을 했는지 보라”며 “이들은 환율시장에서 장난을 치고 있다. 우리는 바보(bunch of dummies)처럼 앉아만 있었다”고 말했다. 트럼프가 중국과 함께 일본을 환율조작국으로 여긴다는 사실이 분명해진 것이다.
그간 트럼프는 무역적자 해소의 방편으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혀 왔다. 중국이 인위적으로 위안화 가치를 낮춰 대미 무역에서 부당한 이익을 챙긴다는 논리다. 트럼프는 “중국은 미국을 돼지저금통처럼 활용한다”고 맹비난하기도 했다.
문제는 환율전쟁의 대상이 중국 하나가 아니라는 점이다. 같은 날 피터 나바로 백악관 국가무역위원회(NTC) 위원장은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유로화는 과거 독일 마르크화”라고 비난했다. 이어 “독일이 유로화 가치를 대폭 절하해 미국과 유럽연합 회원국들을 착취했다”고 비판했다.
이렇듯 트럼프 행정부가 환율조작국 카드를 꺼내들며 전방위로 환율전쟁을 벌일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는 취임하자마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을 선언하며 무역전쟁의 총성을 울렸다. 그가 관세에 이어 환율을 무기 삼아 대규모 무역적자 해소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미 정부는 환율조작국에 수입 제한, 보복관세 부과, 국제통화기금(IMF)을 통한 압박 등 다양한 제재를 가할 수 있다. 미 재무부는 지난해 10월 환율 보고서에서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독일 대만 스위스 등 6개국을 환율조작국의 전단계인 환율관찰대상국으로 분류했다. 트럼프가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발 환율전쟁 우려에 외환시장은 요동쳤다. 이날 뉴욕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장중 112.08까지 하락(엔화가치 상승)하며 두 달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26일 춘제(春節) 연휴를 앞두고 위안화를 소폭 절상한 중국 인민은행이 불확실성에 맞서 추가 절상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트럼프가 일본이 환율을 조작했다고 비판한데 대해 1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그런 비판은 맞지 않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
트럼프 ‘환율전쟁’ 방아쇠 당겼다
입력 2017-02-01 17:41 수정 2017-02-01 2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