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서울∼부산 간 무정차 열차와 3회 이하 정차 열차의 투입을 확대해 고속철 운행시간을 대폭 단축한다. 기존 고속철도 시설을 개량해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속 400㎞ 이상 달릴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철도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3차 철도산업발전 기본계획(2016∼2020)’을 철도산업위원회 심의를 거쳐 1일 최종 확정했다. 철도산업발전 기본계획은 향후 철도산업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5년 단위 중장기 계획이다. 계획에 따르면 우선 고속철도 본연의 속도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정차횟수를 최소화한다. 서울∼부산의 경우 무정차 서비스를 도입해 운행시간을 2시간 이내로 단축한다. 3회 미만 정차횟수도 기존 운행횟수의 5%였던 것을 올해부터 15%로 늘려 평균 소요시간을 2시간40분에서 2시간20분대로 줄인다. 전국 주요거점을 시속 200㎞ 이상 고속화 철도로 연결하는 간선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철도건설도 투자 우선순위에 따라 적기에 추진한다. 국토부는 지난해 6월 70조원 규모의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대상사업을 세웠다. 특히 시속 400㎞ 수준의 차세대 고속철도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현재 고속철도 시설을 보완한다. 현재까지 400㎞ 고속철도를 상용화한 사례는 없다.
인적과실, 차량·시설 고장 등 철도 사고 유발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철도 시설 관리비용을 효율화하고 신호시스템 등 핵심부품에 대한 국산화도 추진한다. 철도 연구·개발(R&D)에서도 차세대 초고속열차, 차세대 통신시스템 등 미래선도형 분야의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세종=서윤경 기자
서울∼부산 무정차 KTX 도입… 2시간 이내 주파
입력 2017-02-01 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