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하락의 빨간불이 켜진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독자 세력화’를 통해 위기 탈출을 시도한다. 연대에 집착하다가 지지율이 빠졌다는 판단 때문이다. 반 전 총장 측은 앞으로 ‘선(先) 정치세력화, 후(後) 빅텐트’에 주력할 방침이다.
반 전 총장의 핵심 측근인 김숙 전 유엔대사는 31일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정치결사체 형식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제3지대보다는 독자 세력화로 보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어 “(새누리당) 의원들도 합류할 것”이라며 “의원들이 (반 전 총장 캠프에) 들어와 조직 등을 담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당 창당 대신 반 전 총장을 지지하는 의원들과 세력들이 느슨한 연대 형식의 정치결사체를 꾸리겠다는 뜻이다. 김 전 대사는 또 “지금까지 민심을 들었다면 이제는 조직을 정비해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정진석 의원 등 일부 충청권 의원들은 이번 주 중 새누리당을 탈당해 반 전 총장을 도울 것으로 알려졌다. 반 전 총장 측은 이 과정을 거쳐 기존 정당과의 통합을 추진할 계획이다. 바른정당이나 국민의당이 통합 대상으로 거론된다.
반 전 총장 측 다른 관계자는 “빅텐트는 최종 목표이며, 정치세력화는 빅텐트로 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독자 창당 가능성은 매우 낮아졌다”며 “통합이 힘들다면 기존 정당의 대선 후보들을 다 모아놓고 ‘원샷’ 경선을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치세력화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반 전 총장은 벼랑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 반 전 총장 지지율이 하락하자 새누리당 탈당 움직임은 크게 축소됐다. 보수 세력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나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 등에게 눈을 돌릴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반 전 총장은 대선 전 개헌을 실행할 ‘개헌추진협의체’ 구성을 공식 제안했다. 개헌 카드를 재차 강조한 것은 ‘반(反)문재인 세력’ 규합을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반 전 총장은 서울 마포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선 전 개헌에 동의하는 모든 정당과 정파의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여 실현 방안을 적극 논의할 때”라고 말했다. 또 대선과 총선 시기를 맞추기 위해 “차기 대통령 임기 단축도 충분히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 전 대표를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민주당과 그 당의 유력 주자는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대선 전 개헌에 반대하고 있다”면서 “정권교체 (주장) 뒤에 숨어있는 패권 추구 욕망을 더 이상 감추려 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반 전 총장은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과 오찬을 함께하며 개헌과 빅텐트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지난 29일에 이어 이틀 만에 다시 만났다. 반 전 총장 행보에 김 의원 역할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반 전 총장은 오세훈 전 시장과도 만났다. 오 전 시장은 바른정당 입당을 권했으나 반 전 총장은 “생각해보고 답을 주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현재로선 오 전 시장이 바른정당의 최고위원직을 사임하고 반 전 총장을 돕는 방안이 유력하다.
하윤해 권지혜 기자 justice@kmib.co.kr
[단독] 潘, 독자 세력화로 위기탈출 나선다…반기문측 김숙 전 대사 밝혀
입력 2017-01-31 22:22 수정 2017-01-31 2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