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핀융합연구단 우성훈 박사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공동연구로 소자의 스핀 성질을 활용해 전력 소모 없이 메모리 소자를 구동할 방법을 최초로 구현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론으로만 제시됐던 스핀파를 이용한 자구벽의 이동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스핀파는 강자성체 등의 스핀 배열이 흐트러질 때 발생하는 파동이다. 자구벽은 자석처럼 일정한 방향의 자기를 가진 작은 영역인 자구와 자구의 경계다.
높은 이동도와 안정성, 값싼 공정가격 등을 담보할 수 있는 자구벽 구조를 메모리 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됐다. 문제는 기존 전자소자와 비교해 전력소모가 많아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점이었다.
연구팀은 2개의 자구벽이 부닥쳐 생기는 스핀파를 사용하면 전력이 없어도 자구벽이 효율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밝혔다. 전류의 유입 없이 자구벽의 유무 상태를 바꾸게 됨으로써 무전력 소자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김동우 기자
KIST-MIT연구팀, 전력 소모 없이 메모리 소자 구동 첫 규명
입력 2017-01-31 1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