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엮인 삼성·崔… 특검, 다시 ‘삼성 올인’

입력 2017-02-01 05:02
최순실씨가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의 미얀마 방문을 앞두고 추진된 ‘미얀마 K타운 프로젝트’에 개입한 의혹과 관련해 유재경 주미얀마 대사가 31일 오전 서울 강남구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국정농단 사태와 삼성이 연관된 사건들을 집중 추적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 결정을 앞두고 삼성을 전방위로 압박하는 모양새다. 삼성은 해당 의혹들에 적극 해명하고 있지만, 꼬리를 물고 드러나는 ‘비선실세’ 최순실(61·구속 기소)씨와의 연관성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최근 특검이 수사하는 다양한 이슈 중 공교롭게도 삼성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우선 31일 최씨의 알선수재 혐의와 관련해 소환된 유재경 미얀마 대사도 삼성 배경을 갖고 있다. 특검은 최씨가 지난해 5월 삼성전기 전무 출신인 유 대사를 미얀마 대사로 앉히는 데 영향력을 행사한 정황을 잡고 최씨의 해외사업 이권 챙기기와 유 대사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있다.

특검은 유 대사가 대사 임명 당시 삼성에서 퇴임한 자문역 상태였던 것에도 주목하고 있다. 삼성 출신인 유 대사가 최씨와 연결되는 데 삼성이 모종의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의미다. 삼성은 “유 대사는 당시 이미 회사를 떠난 상태였고, 최씨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전혀 모른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특검은 “최씨와 삼성이 유 대사를 통해 연관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전경련의 보수단체 관제데모 지원 의혹에도 삼성이 배후로 주목받고 있다. 청와대와 전경련이 보수·극우단체들을 동원해 관제 여론전을 펼치게 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는 가운데 삼성이 돈줄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 미래전략실 고위임원과 청와대·전경련 관계자들이 모여 친정부·친재벌 집회 및 시위를 여는 단체들에 대한 자금지원 문제를 상의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삼성은 “전경련 요청으로 자금지원을 했고, 청와대 관계자들과 함께 자금지원 관련 회의를 연 적이 없다”고 해명하고 있다. 특검은 삼성 자금지원에 대가성이 존재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삼성이 국정농단 사태가 본격화된 이후에도 최씨를 몰래 지원했고, 승마용 말 블라디미르 구입 등에 관여했다는 주장도 일부 언론을 통해 제기됐다. 삼성은 “최씨에 대해 추가 우회지원한 바 없고, 블라디미르 구입에도 일절 관여하지 않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삼성의 적극적인 해명에도 불구하고 특검은 삼성 수사에 ‘올인’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특검은 삼성의 최씨 지원 및 미르·K스포츠 재단 출연금 등에 대해 뇌물죄 프레임을 씌워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에서 영장이 기각되며 체면을 구겼다.

이 부회장 보강수사 결과 뚜렷한 추가 혐의를 찾지 못해 영장 재청구에 실패하면 삼성보다 범죄 혐의가 비교적 약한 다른 대기업 수사도 타격을 받게 된다. 특검 1차 수사기간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삼성에 대한 수사가 무위로 끝날 경우 나머지 대기업 수사는 착수도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