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에 이어 석유화학 업계까지 내우외환으로 울상이다. 안으로는 공급과잉업종으로 지정돼 구조조정 압박을 받고 있고 밖에서는 미국이 ‘무역보복’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미 정부는 최근 한국산 화학제품에 대해 반덤핑 예비관세를 부과했다. 특히 대상 업체인 LG화학은 지난해 말 기업활력제고를위한특별법(원샷법)에 따라 사업재편에 나선 상황이다.
석화업계 관계자는 31일 “원샷법 등을 통해 기업들이 자발적 구조조정에 나선 가운데 미국 조치까지 더해져 힘들게 됐다”며 “그동안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에 따른 타격만 우려했는데 미국이 우리 기업을 직접 상대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당초 석화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예상한 악재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었다. 현재 국내 석화업계는 전체 생산량 중 50% 이상을 수출하고 있다. 그중 절반 이상이 중국으로 가는 만큼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조치는 예상치 못했던 변수였다. 이번 예비관세 부과는 오바마정부였던 지난해 6월 미국 화학업체들이 한국산 가소제로 인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제소한 것에 대한 결정이다. 그러나 트럼프 정부에서 결정을 내렸다는 점에서 악재가 분명하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미국이 중국 제품에 대해 수입 규제를 하기 전 한국 제품을 시범 케이스로 삼았다는 것이다.
추가 조치가 나올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지난해 7월에도 미국 기업들은 한국을 포함한 수입산 ESBR(에멀션·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제품에 대해 반덤핑 제소를 했다. 국내 업체 중 ESBR을 미국에 수출하는 업체는 LG화학과 금호석유화학이다.
다른 업종 기업들도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미 미국은 지난해 포스코 등 한국기업의 철강제품에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 철강업계도 공급과잉업종으로 지정돼 원샷법 등을 통한 사업재편에 나선 상태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화될 경우 철강·석화에 이어 한국산 철강금속재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다음 차례가 금속업계가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세종=서윤경 기자
설상가상 석화업계 “울고 싶어라”
입력 2017-01-31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