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산업계 중 정보기술(IT)·가전 업계만 전망이 좋을 것으로 예측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10여개 업종 단체와 공동으로 조사한 ‘2017년 산업기상도’를 31일 발표했다. 대선 등 국내정치 상황과 하방 압박에 직면한 중국, 미국 금리인상 후폭풍,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4가지 불확실성 탓에 산업계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기상도는 맑음(매우 좋음), 구름 조금(좋음), 흐림(어려움), 비(매우 어려움) 4단계로 나뉜다.
IT·가전 업계는 ‘맑음’으로 예상됐다. 4차 산업혁명의 확산과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적용할 반도체가 긍정적 요인으로 꼽혔다. 반도체는 3D 낸드플래시 메모리 성장세로 올해 10.3%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건설과 정유·유화, 기계 산업은 ‘구름 조금’으로 예보됐다. 건설 업종은 지난해 11월 3일부터 시행된 부동산 안정화 대책과 금리인상 등 악재가 존재하지만, 중동발 공사 발주가 재개돼 상쇄될 수 있다. 정유·유화는 국제유가 반등에 따른 가격 인상, 중국 환경기준 강화로 국내산 경유의 반사이익이 예상돼 수출이 전년 대비 10.7% 늘어날 전망이다.
철강과 섬유·의류 산업은 ‘구름’으로 전망됐다. 철강 산업은 수입 규제와 공급 과잉이, 섬유·의류 산업은 신흥국의 저가 제품 공세와 모바일·인터넷 거래 확대로 인한 단가 하락 등이 전망을 어둡게 했다.
조선과 자동차 산업은 ‘눈·비’로 예측됐다. 조선은 전 세계 무역량 감소와 수주 감소로 일감 부족이 심화될 예정이다. 자동차는 내수 감소, 중국차 상륙, 미국 내 투자 압박 등의 삼중고가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
올해 산업 전반 ‘흐림’… IT·가전 업계만 ‘맑음’
입력 2017-02-01 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