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들 안동 하회탈 알지? 씨익 웃고 있는 거. 그거 왜 그렇게 웃고 있는지 알아?”
영화 ‘더 킹’의 첫 장면. 함께 차를 타고 가던 조인성 정우성 배성우가 히죽거리며 농담을 주고받는다. 관객은 난데없는 하회탈 드립에 의아할 법하다. 막바지에 이르러서야 깨닫게 된다. ‘지금부터 시원한 마당놀이를 한 판 펼쳐 보이겠다’는 선언과 같다는 것을.
‘더 킹’은 왕이 되고 싶었던 주인공 태수(조인성)의 삶을 통해 권력의 허망함을 조롱한다. 권력을 쥐고 폼 나게 살고 싶어 검사가 된 태수는 ‘실세’ 정치검사 강식(정우성)을 만나 인생의 정점을 맛보기도, 한순간에 바닥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영화는 태수의 내레이션을 삽입하고 다큐멘터리 형식을 차용함으로써 현실감을 불어넣은 점이 특징적이다. 1980∼2010년대 현대사를 관통하며, 역대 대통령들과 실제 사건을 직접 거론한다. 특히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뉴스 화면이 그대로 나온다. 이를 통해 정권 교체시마다 줄서기에 여념이 없는 정치검찰의 민낯을 고스란히 까발린다.
개봉 전 정부 외압설이 돌 정도로 민감한 소재였고, 그만큼 용기 있는 도전이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기 전에 촬영이 끝났는데도 신기하리만큼 현실과 겹치는 부분이 많다. 최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만난 한재림 감독은 “실제 외압은 없었지만 상업적으로는 부담스러운 지점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더 킹’은 풍자와 해학이 미덕인 마당극의 성격을 띤다. 상황 자체가 극적이거나 배우들이 연극 톤으로 대사를 친다. 특히 강식과 그의 부하들이 자자의 ‘버스 안에서’, 클론의 ‘난’ 등 댄스곡에 맞춰 춤을 추는 장면은 웃음을 자아낸다.
한 감독은 “마당극처럼 서민의 애환과 분노를 달래고 확 풀어버릴 수 있는 경쾌한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며 “아픔과 슬픔 속에서도 결국 새로운 희망의 길로 나아갔으면 하는 마음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또 “권력이란 게 참 매력적이다. 화려하기도 하고. 하지만 실체는 없다. 꼭대기 층 펜트하우스, 쌓아올린 샴페인 잔…. 전부 한 순간 무너지고 가라앉는 것들이다. 깃털 같은 거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될 것이냐, 그런 얘기를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캐릭터들이 워낙 현실적으로 그려진 탓에 김기춘 우병우 등 특정인물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한 감독은 “그렇게 연상할 수 있으나 의도한 건 아니었다”며 “어느 분야에서든 자기만을 위한 선택을 하는 사람들이 있지 않나. 충분히 상상할 수 있는 인물들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사회에는 이기주의나 엘리트주의, 출세주의 같은 부조리가 만연해있는 게 사실이다. 우리가 해결하지 않고 어떤 명분이나 힘의 논리에 의해 지나쳐온 것들이 지금 (한꺼번에) 터지는 거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송강호 주연의 전작 ‘관상’(2013)으로 910만 관객을 동원한 한 감독은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라있다. 그는 “세상이 어떤 세상인데 그런 걸 만드나. 너무 시대착오적인 것 같다. 답답할 따름”이라고 탄식했다.
권력의 진정한 주인은 국민이라는 결말의 의미가 묵직하다. “당신의 선택에 따라 이 사회는 비극적일 수도, 희망적일 수도 있다. 촛불로 모인 이들이 이 세상을 조금씩 움직여가고 있는 것처럼. 그런 힘을, 희망을 다시 느꼈으면 좋겠다.” 한 감독이 ‘더 킹’을 통해 전하고자 한 메시지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더 킹’ 한재림 감독 “세상을 움직여 가는 ‘촛불’, 그 힘이 진짜 권력”
입력 2017-02-01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