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3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갖고 한·미동맹 강화와 북핵 해법 공조에 의견을 같이했다. 황 대행이 미국 정상과 통화한 것은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 10일이나 지나 다소 늦은 감이 있다. 그러나 한·미동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두 사람 간 통화는 시의적절했다고 본다. 미국 측의 요청으로 통화가 이뤄졌다는 점은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대북 경고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확고했다. 그는 “미국은 언제나 100% 한국과 함께 갈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도발할 경우엔 한·미 공조에 기반해 강력한 대응에 나서겠다는 인식도 황 대행과 공유했다. 북핵 문제는 한국과의 공조를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다. 독자적 대화 행보 또는 북한 선제공격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다음 달 2일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구체적인 대북 압박 조치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황 대행에게 “조만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한 대목은 성사 가능성은 낮지만 외교안보 컨트롤타워로서의 황 대행 체제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환영만 하고 있을 단계는 아니다. 한·미동맹은 상호 의존적 관계인 만큼 미국의 전략 내면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모든 발언은 ‘미국 우선주의’에서 출발한다. 그런 만큼 그의 발언은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 방한에 앞선 사전 정지작업 성격이 강하다. 한·미동맹을 강조함으로써 주한미군 방위비 증액 등 민감한 문제를 거론할 토대를 마련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는 뜻이다.
황 대행은 좀더 치밀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해 주한미군 방위비 증액과 미사일방어(MD) 체계 편입 등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적극 전달해야 한다. 국회 특히 야권과의 사전 협의를 통해 한목소리를 내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야권이 즉각 황 대행의 구체적 발언 내용 공개를 요구하며 태클을 걸고 나선 것은 적절치 못하다. 야권은 외교안보 문제만큼은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힘을 보태주는 게 옳다.
[사설] 한·미 공조 확인한 黃 대행과 트럼프… 야권도 힘 보태야
입력 2017-01-30 1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