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결집’ 기대 심리… 정권교체 언급하는 사람도 늘어나

입력 2017-01-31 05:07

각각 진보·보수의 요충지인 호남과 대구·경북(TK)은 마음 줄 곳을 잃은 채 관망 중이다. 호남은 1차적으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을 두고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 인물로도 ‘미워도 다시 한 번’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인지, 아니면 다른 인사인지를 저울질해야 한다. TK는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큰 상처를 받았지만 보수 정치에 대한 신념마저 버리진 않았다. 지역 출신 대선 주자가 둘이나 있는 충청, 한국판 ‘러스트 벨트’로 꼽히는 부산·경남(PK)의 선택도 대선 판을 뒤흔들 것이다.

보수의 텃밭이면서도 지난 20대 국회의원 총선에선 야풍이 두드러졌던 PK(부산·경남) 민심은 여전히 보수 우위라는 진단이다. 보수 후보 단일화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의 1대 1 구도가 만들어지면 전통적인 보수층이 결집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다만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박근혜 2탄은 안 된다’는 기류가 강해졌다.

부산대 행정학과 김용철 교수는 30일 “PK는 정부 수립 이후 여당의 확고한 지지기반이었다”며 “최순실 사태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그것이 바로 정권교체 주장으로까지 확산되고 있지는 않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보수 진영의 여러 당이 합쳐서 단일 후보를 내고 문 전 대표와 붙는다면 당선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부산에서 59.82%의 지지를 얻어 문 전 대표(39.87%)를 크게 앞섰다. 경남에선 지지율 격차가 63.12%대 36.33%로 더 벌어졌다. 김 교수는 “대선은 양자 대결일 때 결국 49대 51의 싸움”이라며 “보수에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아니라 누가 나오더라도 그렇게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김용복 교수는 보수 지지세 못지않게 정권교체를 언급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최순실 사태를 지역 논리가 아닌 국가의 근간을 위협하는 문제로 보는 쪽에선 보수 진보에 상관없이 박근혜·최순실과 연관돼 있는 정치 세력은 청산 대상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 전 총장이 새로운 보수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기존 세력과 같이 가는 형태가 되면 당선이 어려울 것이란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이 중도 후보·정당을 끌어안지 못하면 정권이 바뀔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PK의 요동치는 민심은 지난해 4·13총선 때 드러났다. 부산은 18개 지역구 중 5곳, 경남은 16곳 중 4개 지역구에서 야당 후보가 당선됐다. 하지만 총선 민심을 대선에 바로 대입하는 건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우세하다. 김용철 교수는 “총선에선 지역마다 각 후보의 자질이 당락에 크게 작용한다”며 “수백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총선과 딱 한 명을 정해 표를 던지는 대선은 다르다”고 했다. 김용복 교수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선 “박 대통령과 동일 인물로 보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의견이 우세하다”고 부정적인 의견을 전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