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매 규제 피한 부산, 아파트값 가장 많이 올랐다

입력 2017-01-26 16:50



부산 집값이 지난해 4분기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정비사업이 활발했던 데다 11·3 부동산 대책에 따른 전매 제한 규제를 피해 투자 수요가 유지된 덕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부터는 입주 물량이 늘어나 집값 상승세가 약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114는 지난해 4분기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3분기 대비 상승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2.81%를 기록한 부산이었다고 26일 밝혔다.

부산 다음으로는 서울(1.33%) 수도권 신도시(0.88%) 강원(0.72%) 경기·인천(0.69%) 세종(0.58%) 대전(0.49%) 전남·전북(각 0.26%) 울산(0.15%) 제주(0.12%) 광주(0.11%) 경남(0.06%) 순으로 올랐다. 경북(-0.62%) 충남(-0.18%) 충북(-0.12%) 대구(-0.05%)는 집값이 내렸다.

전국 평균 상승률은 전 분기(1.52%)보다 크게 꺾인 0.92%였다. 부산의 상승률은 전국의 3배가 넘는 수준이다. 부산도 3.12% 올랐던 3분기보다는 상승폭이 줄었다.

부산은 지난해 11·3대책에서 청약 1순위 자격과 재당첨 규제 등을 강화한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지만 현행 주택법 덕에 분양권 전매 제한을 면했다. 주택법은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 전매 제한 기간을 적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산은 11·3대책 발표 이후 대체 투자지로 거론되며 청약 열기를 이어갔다. 부산에서는 수영구(4.10%) 남구(3.66%) 해운대구(3.51%) 북구(3.47%) 동래구(2.94%) 등의 순으로 올랐다.

서울에선 강남·송파·서초 등 강남3구의 상승률이 나머지 지역(1.65%)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집값 상승을 주도하던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가 11·3대책 영향으로 0.24% 오르는 데 그친 탓이 컸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는 양천(2.40%) 서대문(2.27%) 은평(2.21%) 노원(2.12%) 영등포(2.05%) 구로(2.00%)가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산 집값이 올해도 고공 행진을 이어갈지는 미지수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2년 전 활황기 때 분양한 아파트가 이제 대거 입주를 시작한다”며 “입주물량이 증가하면서 매매가격은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국적으로는 올해 39만 가구, 내년 40만 가구 등 앞으로 2년간 80만 가구에 달하는 아파트 입주가 예정돼 있다. 1990년대 수도권 1기 신도시가 조성된 이후 최대 물량이다.

건설업계는 입주 포기자가 속출하는 ‘입주대란’을 우려하며 준비 태세에 돌입했다. 건설사들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몰아친 2008년 같은 상황으로 자금난에 빠진 경험이 있다.

각 업체는 입주관리 전담팀을 꾸리거나 대출 주선, 연체이자요율 조정 등을 검토 중이다. 입주관리팀은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 부동산 거래상담, 대출상담 등을 지원한다. 입주 물량이 몰리는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는 잔금대출을 주선해 주거나 연체이자요율 조정 등의 금융 관련 서비스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