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서로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리며 ‘설 밥상’ 여론 경쟁에 돌입했다. 민주당은 야권통합론을 본격적으로 꺼내들고 국민의당을 압박했다. 국민의당은 박근혜 대통령과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를 동시에 비판하며 호남 민심잡기에 주력했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2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설 명절이 지나면 공동경선, 후보 단일화, 야권통합 등 야권 대선 후보들의 관계와 구도를 어떻게 정리할 것인지 본격적으로 정리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야권통합, 특히 민주당과 국민의당 통합을 통한 야권 단일 후보 옹립이 정권교체를 확실하게 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이라며 “야권통합이 불가능하다면 공동정부 혹은 연립정부 구상도 필요하다. 이번만큼은 야권 분열로 실패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이 야권통합을 강조하는 것은 ‘정권교체’라는 명분 아래 국민의당 및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지지율 반등을 견제하는 포석으로 읽힌다. 국민의당이 금기시하는 야권통합론을 매개로 국민의당을 자극하는 한편 국민의당을 ‘반통합세력’으로 비판할 근거로 삼겠다는 것이다. 또 야권통합론이 거세질수록 국민의당 내부의 ‘자강론자’와 ‘연대론자’ 사이 내분도 기대할 수 있다. 우 원내대표는 “통합과 (정권교체라는) 가치에 동의하는 것이 개인의 계산보다 먼저”라며 “(통합) 마음만 있다면 연대 방법이 왜 없겠느냐. 방법은 열어두고 얘기할 수 있다”고 재차 요구했다.
국민의당은 박 대통령과 문 전 대표를 동시 비판했다. 호남 의원 비중이 절대적인 국민의당 특성상 현 정권에 대한 강력한 비판과 호남의 ‘반문(반문재인) 정서’를 적극 활용해 설 민심을 지지율 반등의 기회로 삼겠다는 것이다.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는 전날 박 대통령의 보수매체 인터뷰를 거론하며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적반하장식 태도에 아연실색했다. 거짓말을 산더미같이 쌓은 국정농단의 주범이 할 얘기가 아니다”고 원색 비난했다. 지난달 탄핵 정국에서 국회 본회의 의결을 9일로 미뤄 발생했던 호남에서의 강력한 반감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지도부는 문 전 대표를 향해서도 포문을 열었다. 주 원내대표는 문 전 대표가 전날 KBS 대선주자 좌담회 출연을 취소한 것을 두고 “(문 전 대표가) 지금의 언론관을 갖고 나중에 대통령이 되면 자신의 생각과 다르고 맘에 들지 않는 언론과는 대화하지 않겠다는 것이냐”고 날을 세웠다. 이어 “문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을 향해 ‘독단적 불통’이라고 비판했던 것을 되돌아보라”고도 했다.
안 전 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이번 대선은 짧은 기간에 대통령을 뽑는 만큼 토론을 통해 본인 생각을 제대로 밝혀야 하는데 (문 전 대표가) 계속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으면 제2의 박근혜가 될 뿐”이라며 “또다시 콘텐츠가 없는 박 대통령 같은 사람을 뽑을 수는 없지 않느냐”고 일갈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민주, 야권 통합 띄우기… 국민의당, 朴-文 때리기
입력 2017-01-26 16:27 수정 2017-01-26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