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구상하는 이른바 ‘빅텐트’의 중심 축은 세 개다. 개헌, 연정, 반문(반문재인)이다. 이 노선에 공감하는 인사들은 모두 헤쳐모이자는 주장이다. 반 전 총장 측은 개헌과 연정이 ‘보수 대 진보’라는 해묵은 갈등 구조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이라고 보고 있다. 호남에 기반을 둔 국민의당을 끌어들일 수 있는 명분도 된다.
반 전 총장은 세 가지 기치 아래 일단 세(勢)를 형성한 다음 내부 협의를 거쳐 신당 창당이든, 기존 정당 입당이든 거취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제3지대행 탈당 움직임도 이런 흐름에 맞춰 급물살을 타고 있다.
반 전 총장은 24일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점심을 함께했다. 두 사람은 비패권지대 구축에 공감했다고 반 전 총장 측 이도운 대변인이 밝혔다. 반 전 총장은 “큰 틀에서 도와 달라”고 요청했고, 정 전 의장도 “연대를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 전 의장은 그러면서 “비패권지대에 사람들이 모이면 개혁 공동정권 창출로 가야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규합이 쉽지는 않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한다. 두 사람은 설 연휴 뒤 다시 만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비패권지대는 정 전 의장과 김종인·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를 묶는 고리이기도 하다. 반 전 총장은 김 전 대표와는 이미 회동했고 손 전 대표와도 설 연휴 전에 만나기로 했다. 반 전 총장은 전날 방송 대담에서 대선 전 개헌과 권력 분산, 협치, 선거제도 개편 등을 두루 언급했다. 이는 빅텐트를 최대한 넓게 치겠다는 포석으로 보인다. 그는 이날 창당한 바른정당 정병국 대표에게도 전화를 걸어 축하인사를 건넸다.
반 전 총장 측 인사는 “보여주기식으로 연대세력을 접촉하는 게 아니다”며 “그들의 의견을 참고해 향후 행보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빅텐트 안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가 반 전 총장 행보를 가르는 변수가 될 것이란 의미다. 새누리당 한 충청권 의원은 “반 전 총장이 패권과 기득권, 특권을 없애자는 메시지를 강하게 낼 것”이라며 “이를 제도화하는 것이 개헌”이라고 설명했다. 반 전 총장이 최대 라이벌로 꼽은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를 겨냥한 메시지다. 이 의원은 반 전 총장이 보수정당에 입당해 중도로 외연을 확대하는 것보다는 중간지대에서 보수까지 끌어안는 수순을 밟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 전 총장은 독자 노선을 걸을 것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 문제는 앞으로 차차 알게 될 것”이라고만 답했다. 반 전 총장 측 이상일 전 의원도 “대통합 로드맵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신당 창당 하나로 국한해서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소속 정당 없이 가치, 이념을 고리로 한 연대가 얼마나 탄탄할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정병국 대표는 “당 밖에서 도와달라고 할 게 아니라 바른정당에 들어와 본격적인 지원을 받으며 뛰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공개적으로 바른정당 입당을 권유했다.
반 전 총장은 완주 의지를 거듭 내보였다. 그는 개신교 단체를 방문해 “나는 조직도 없다. 단기필마 아니냐”며 “모든 것은 국민의 신임에 달려 있다. 끝까지 가겠다”고 강조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개헌·연정·反文’… 반기문 빅텐트의 ‘세 기둥’
입력 2017-01-25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