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인1표 방식 완전국민경선 치른다

입력 2017-01-24 18:10
더불어민주당이 대의원·권리당원에 대한 가중치 없이 일반 국민과 같은 비율로 투표토록 하는 ‘완전국민경선제’ 대선 경선 룰을 확정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요구한 야권 공동 경선은 각 당 간 이견 등을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양승조 민주당 당헌당규강령정책위원장은 2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9대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경선 룰) 합의 결과를 발표했다. 경선은 전국 순회 투표, 투표소 투표, 자동응답전화(ARS) 투표, 인터넷 투표 등 네 가지 방식으로 치러진다. 양 위원장은 “국민 누구나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민주당 대선 후보를 선출할 수 있도록 국민경선을 실시한다”면서 “국민 참여를 최대한 보장하자는 취지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일반 국민 모두 1인 1표를 부여했다”고 말했다.

선거인단 모집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 전 한 차례, 결정 이후 한 차례 실시해 탄핵 정국 민심을 최대한 반영토록 했다. 모집 방식도 전화(콜센터), 인터넷, 현장서류 접수 등으로 다변화했다.

ARS 투표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각 후보자 진영에서 추천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ARS투표검증단’도 구성한다. 또 박 시장이 요구해온 ‘촛불광장 경선’을 의식해 각 도시 광장 인근 건물 등에서도 선거인단 신청 및 투표소 투표를 할 수 있도록 노력키로 했다.

1차 투표에서 과반을 얻는 후보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결선투표도 실시한다. 이는 이재명 성남시장 등 후발주자들이 강력히 요구한 방식이다. 대의원·권리당원에 대해서는 별도 신청 절차 없이 자동으로 투표권을 부여토록 했다.

전국 순회 투표는 호남·충청·영남권 및 ‘수도권·제주 광역권’ 등 네 차례만 실시한다. 양 위원장은 “이번에는 헌재가 탄핵을 인용할 경우 60일이라는 한정된 시간만 있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과 민주당 김부겸 의원 등이 요구한 야권 공동 경선은 무산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야권 내에서도 정당 간 입장이 달라 협상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당 중심의 사전 연대보다는 경선 후 각 후보자 간 단일화 움직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는 “다른 야당의 준비도 돼있지 않아 지금 공동정부를 말하는 것은 조금 이르다”며 “당 경선이 끝나고 난 뒤 야권 연대와 연정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도 “공동 경선은 변형된 단일화의 다른 이름”이라며 “단일화는 이제 국민이 식상해한다.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이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공동 경선이 무산됐지만 박 시장과 이 시장, 김 의원 등이 경선불참 등 극단적인 선택을 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박 시장 측은 “정권교체 이후 야권의 원활한 직무 수행을 위한 공동정부나 연정 발판을 만들려는 박 시장의 진정성에 따랐던 것”이라며 “다른 방안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2012년 대선 당시 경선 투표자 58만명을 훌쩍 뛰어넘는 150만명 이상이 이번 경선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은 25일 최고위원회를 열고 협상 결과를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